목차
개요
월상골 무혈 괴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방바닥을 손으로 짚고 일어설 때 손목이 아픈 것은 손목에 있는 병들의 비특이적 공통 증상이다. 방바닥을 손으로 짚는 동작은 손목에 무리를 주는 대표적인 동작으로 방바닥 생활을 피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월상골 무혈 괴사란?
- Kienbock 병은 1910년 Kienböck이 반복적인 외상에 의해 손목 인대나 혈류의 장애가 발생하여 월상골 영양 상태의 문제가 생기는 질환으로 정의
원인
- 해부학적으로 짧은 척골에 의한 압력의 변화나 반복적인 외상으로 인한 전단력, 압박력으로 혈류 공급이 차단되면서 월상골의 붕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음
- More frequently in ulnar-minus variant wrist
진단
증상/병력
- 손목 통증, 뻐근함 호소
신체검사
- 손목관절운동 범위의 제한
- 압통: 손목 배측부위의 월상골위쪽 촉진 시
월상골 부위에 통증이 있다면 무혈 괴사일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압통 부위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영상검사
> Dr. 김지형의 코멘트
|
단순방사선검사
- 전형적인 척골의 결손이형 소견(Ulnar minus variant)
- Normal in early cases → Become sclerotic c cystic changes → Fragmentation & collapse

- 초기에는 월상골이 정상으로 보일 수 있으나, 흔히 낭성변화를 동반한 월상골의 경화소견을 관찰할 수 있으며, 진행된 경우에는 월상골의 조각과 붕괴 관찰 가능
골스캔 검사
- 단순방사선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서도 섭취율의 증가 소견 관찰 가능
자기공명영상
- Kienbock병 진단에 유용

분류
Stahl-Lichtman classification system
|
치료
손목 고정
- Kienbock 병의 초기에 혈관의 재관류를 촉진하기 위하여 손목 고정 필요
수술
- 척골의 결손이형일 경우, 요골 단축술 혹은 척골 연장술 시행 가능
- 진행된 Kienbock 병의 경우 부분적 손목 관절 고정술, 연부조직을 포함한 월상골 절제 혹은 실리콘 치환술이 필요할 수도 있음
> Dr. 김지형의 코멘트
|
참고자료
- Jegal MD, Par MJ. The Results of Conservative Management for Early Stage Kienbock’s Disease. J Korean Soc Surg Hand 2014;19(4):180-188.
- Kim DH et al. Advanced Pediatric Kienbock’s Disease. J Korean Orthop Assoc 2018; 53: 453-457
- Salt Ö, Sayhan MB. Avascular necrosis of lunate bone: Kienbock disease. Am J Emerg Med 2016;34(6):1185.e5-6.
- Rioux-Forker D, Shin AY. Osteonecrosis of the Lunate: Kienböck Disease. J Am Acad Orthop Surg 2020;28(14):57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