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관절인대 손상/불안정성(Carpal Instability): 개요
carpal instability 분류
carpal instability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Category I: Chronicity
Category II: Constancy
Category III: Etiology
Category IV: Location
Category V: Direction
Category VI: Pattern
carpal instability의 4가지 양상 ![]() The bold dark lines indicate potential sites where there is disruption in the continuity of the carpus either through fractures, ligament disruptions, or both.
|
- Carpal instability dissociative(CID)
같은 열(same carpal row)에 위치한 수근골들 또는 수근골들 사이의 이상입니다.- Scapholunate dissociation
- Lunotriquetral dissociation
- Scaphoid fracture → 따로 다루겠습니다.
- Carpal instability nondissociative(CIND)
- CIND-VISI
- CIND-DISI
- Combined CIND
- Carpal instability adaptive
- Carpal instability complex
- Dorsal perilunate dislocations (lesser arc injuries)
- Dorsal perilunate fracture-dislocations (greater arc injuries)
- Palmar perilunate dislocations
- Axial dislocations
주상월상 인대 손상(Scapholunate ligament injuries)
개요
- 동의어: 주상월상 해리(scapholunate dissociation)
주상월상 인대가 손상되면 단순 X선에서 주상골과 월상골 사이가 벌어져 보이기 때문
- 수근부 불안정성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 주상골의 회전 아탈구(rotary subluxation of the scaphoid) 동반 가능
주상월상 해리는 단순히 주상월상 인대의(Scapholunate ligament) 손상만으로 발생하지는 않으며 주상골의 회전을 방지하는 후방 수근골간 인대(dorsal intercarpal Ligament)나 주상대다각 인대(scaphotrapezial ligament)의 손상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주상월상 해리의 자연 경과: 아직까지 다양한 이견 존재
과거 | → | 현재 |
|
|
대부분의 주상월상 해리가 SLAC로 진행되어 손목을 못쓰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수근부 통증과 관절운동 범위의 제한 및 파악력의 감소를 호소하기 때문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진단
주상월상 골간 인대 손상은 초기에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상월상 골간 인대의 단독 손상은 단순 X선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원위 요골 골절 같이 명백히 보이는 손상에 동반되어 발생하는 경우에도 간과되어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손상기전/병력
- 주로 팔을 뻗치고 손목이 척측 사위가 된 상태에서 넘어지면서 손목이 과도하게 신전
- 후방 결절종을 제거할 때 후방 관절막을 과도하게 제거하는 경우, 류마티스 질환, 선천 질환과 감염증 이후 발생 가능
- 증상: 파악력 감소, 관절 운동 범위 제한, 주상월상 인대 부위 압통/부종 등
> Dr. 김지형의 코멘트
|
신체검사
- 유발 검사: 주상골 이동검사(scaphoid shift test)(=Watson test)
- 검사자의 엄지 손가락으로 환자의 주상골 전방 결절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검사자의 다른 손으로 척측 사위되어 있는 환자의 수근부를 요측 사위시킴
- 정상 손목: 주상골의 전방 결절에 가해지는 압력 때문에 주상골의 굴곡 가능
- 주상월상골간 인대가 손상된 손목: 주상골 근위부의 후방 전위가 일어나며, 이때 주상골 후방 부위 통증 혹은 탄발음 발생
영상 검사
단순 X선
- 필수 검사: 4장의 표준 사진(AP, lateral, both oblique) + 주먹을 쥔 전후면 촬영(anteroposterior clenched fist view), 신연 사진(distraction view) 등
- 전후면/측면 검사: 가장 중요 / 정상측과 비교하기 위해 양측 촬영
> Dr. 김지형의 코멘트
|
전후면 사진
- 주상월상 간격 3 mm 이상 → 주상월상 해리 의심
- 주상월상 간격 5 mm 이상 → 확진 가능
- Gilula 선을 확인하여 수근골 간 층이 발생하였을 경우도 강력히 의심
측면 사진
- 요골과 월상골, 월상골과 주상골의 각도를 확인하여 수근부 부정정렬을 확인 가능
- 주상월상 각(scapholunate angle): Scaphoid line과 lunate line이 이루는 각
- Scaphoid line (S): 주상골의 근위부와 원위부의 중심을 지나는 선
- lunate line (L): 월상골(lunate)의 전방 및 후방 연을 연결한 선에서 직각인 선
- 정상: 30-60도
- scapholunate dissociation인 경우: >60도
- Radiolunate angle>15º
주상월상 골간 인대 손상 | ||
▼ |
| ▼ |
월상골/삼각골은 신전, 회외전, 요측 사위 | + | 주상골: 굴곡, 회내전, 척측 사위 |
| ▼ |
|
주상월상 각(scapholunate angle)↑ ≥70도 → 주상월상 골간 인대 손상 의심 ≥ 80도 → 수근 불안정성으로 진단 |
- 주상월상 각이 정상보다 커져 월상골이 신전된 상태 → 후방 개재 분절 불안정성
- 피질골 고리 증후(cortical ring sign, signet ring sign): 전후면 사진에서 주상골이 굴곡, 회내전, 척측 사위되면서 주상골 허리 부분의 피질골이 중첩되어 보이는 경우

- Terry Thomas sign(Scapholunate widening)

MRI
- 손목 인대는 매우 짧고, 크기가 작아 MRI를 이용한 진단에 한계 존재
관절 조영술
관절경 검사
- 요수근관절경과 중수근 관절경을 시행하여 주상월상 골간 인대의 전체적인 모습 확인 가능
- 관절경 검사 소견에 따른 분류: Geissler
1단계 요수근 관절에서 골간 인대의 약화, 출혈. 중수근 관절에서는 이상이 없는 단계2단계 중수근 관절에서 부정 정렬과 관절면 불일치. 두 수근골 사이에서 관찰되는 탐침(probe)보다 작은 틈3단계 요수근 관절 및 중수근 관절에서 수근열의 부정정렬. 두 수근골 사이에서 관찰되는 탐침보다 큰 틈4단계 중수근 관절에서 2.7 mm 굵기의 관절경이 두 수근골 사이로 들어갈 수 있는 경우. 도수 조작에 의해 뚜렷한 불안정성 |
치료
- 대개 손상 받은 시기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나누어 치료하지만, 주상월상 관절 불안정의 정도, 이차 안정화 구조물의 손상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결정
- Garcia-Elias 등은 후방 주상월상 골간 인대의 연속성, 파열된 인대의 봉합 가능성, 수근골의 정렬 변화, 주상월상간 정복의 가능성, 그리고 수근골 연골의 손상 여부에 따라 주상월상 골간 인대 손상을 평가하였고, 이를 토대로 1단계에서 6단계까지 나누어 제시
- 1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의 부분 파열
- 2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봉합가능 상태
- 3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봉합 불가능, 정상 수근정렬 상태
- 4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봉합 불가능, 정복 가능, 정상 연골 상태
- 5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정복 불가능, 정상 연골 상태
- 6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정복 불가능, 연골 손상 상태
비수술 치료
- 일반적으로 보존적 치료 우선 시행
수술 치료
: 크게 급성기에 시행하는 방법과 만성기에 시행하는 방법으로 구분
급성기 수술적 치료(수상 후 3개월 이내) |
|
▼ | |
만성기 수술적 치료 |
|
| 특징 | 치료 |
1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부분 파열(pre-dynamic) |
|
|
2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봉합 가능상태(dynamic, repairable) |
|
|
3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봉합 불가능, 정상 수근정렬상태(dynamic, non-repairable) |
|
|
4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봉합 불가능, 정복가능상태(static, reducible) |
|
|
5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정복 불가능, 정상 연골상태(irreducible, normal cartilage) |
|
|
6단계: 주상월상 골간 인대 완전 파열, 정복 불가능, 연골 파괴상태 |
|
|
> Dr. 김지형의 코멘트
|
참고자료
[수근관절인대 손상/불안정성(Carpal Instability): 개요]
- Kani KK, Mulcahy H, Chew FS. Understanding carpal instability: a radiographic perspective. Skeletal Radiol 2016;45(8):1031–43.
- Tan DMK, Lim JX. Treatment of Carpal Instability and Distal Radioulnar Joint Instability. Clin Plast Surg 2019;46(3):451–68.
- Ramamurthy NK, Chojnowski AJ, Toms AP. Imaging in carpal instability. J Hand Surg Eur Vol 2016;41(1):22–34.
- Caggiano N, Matullo KS. Carpal instability of the wrist. Orthop Clin North Am 2014;45(1):129–40.
- Wolfe SW, Garcia-Elias M, Kitay A. Carpal instability nondissociative. J Am Acad Orthop Surg 2012;20(9):575–85.
- Lee DJ, Elfar JC. Carpal ligament injuries, pathomechanics, and classification. Hand Clin 2015;31(3):389–98.
[주상월상 인대 손상(Scapholunate ligament injuries)]
- Na K-T, Lee J-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igament Injuries of the Wrist.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16;29(2):160–70.
- Lee Y-K, Kang H-V, Jung Y-R, Lee J-Y. Surgical Treatment of Scapholunate Instability.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2018;23(3):139–49.
- Bednar JM. Acute Scapholunate Ligament Injuries: Arthroscopic Treatment. Hand Clin 2015;31(3):417–23.
- Dahl JW, Huang JI. Chronic Scapholunate Ligament Injuries: Treatment with Supplemental Fixation. Hand Clin 2015;31(3):457–65.
- Elzinga KE, Kamnerdnakta S, Chung KC. Concepts and Artistry in the Treatment of Scapholunate Ligament Injuries. Plast Reconstr Surg 2018;142(3):322e–33e.
- Greditzer HG. Injuries of the Scapholunate Interosseous Ligament: An Update. J Am Acad Orthop Surg 2016;24(4):e47-48.
- White NJ, Rollick NC. Injuries of the Scapholunate Interosseous Ligament: An Update. J Am Acad Orthop Surg 2015;23(11):691–703.
- Rajan PV, Day CS. Scapholunate Interosseous Ligament Anatomy and Biomechanics. J Hand Surg Am 2015;40(8):1692–702.
- Chim H, Moran SL. Wrist essentials: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capholunate ligament injuries. Plast Reconstr Surg 2014;134(2):312e–22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