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교차증후군이란?
- 장무지외전근과 단무지신근의 건이 장요측수근 신근과 단요측수근 신근의 건과 Lister's 결절의 근위부 4-6cm 지점에서 교차
- 장요측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ECRL), 단요측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ECRB)
- 주관절의 상완골 외측 과상부 능선에서 기시하여 수근 관절(Lister’s tubercle)의 4-8 cm 근위부 근처에서 장 무지 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APL), 단 무지 신전근(extensor pollicis brevis, EPB)의 아래로 교차하며 내려와, 수근부를 거쳐 장 무지 신전 건의 아래로 다시 교차한 후 제 2, 3중수골의 기저부에 각각 부착
| ↔︎ Lister's 결절의 근위부 4-6cm 지점 |
|
- 교차증후군은 이 중 근위부 교차점에서 이러한 건들의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염증반응이 발생하여 특징적인 통증과 염발음을 나타내는 질환
- 1841년 Velpeau에 의하여 처음 기술된 이후 Dobyns 등에 의하여 최초로 명명되어 불리고 있음
- 호발대상: 노 젓는 사람, 역도선수, 라켓스포츠선수
원인
- 손목에서 제 1 구획에 속하는 장무지 외전건과 단무지 신건이 제 2구획의 건인 장요수근신건 및 단요수근신건과 수근 관절의 근위 약 4cm에서 교차하는 해부학적 위치를 감안하여 두가지로 발병 원인을 설명
- 제 1, 2구획 건사이의 마찰에 의해 활액막염 발생
- 제 2구획 건 포착으로 인한 건활막염 발생
진단
증상/병력
- 전완부 요측 및 배면 통증(dorsoradial distal forearm pain)이 점진적으로 발생 → 반복적인 손목신전 동작(repetitive wrist extension) 시행시 악화
신체 검사
- 가벼운 부종, 급성압통(Lister's 결절 4-6cm 근위부)
- 마찰음(crepitation): 흔히 손목의 굴곡이나 신전상태(wrist flexion & extension)에서 발생
치료
비수술 치료
- 충분한 안정
- 급성 통증시 냉 치료
- 약물: 항염증제 복용
- 중립 손목-손 보조기(Neutral wrist-hand orthosis)
- 물리치료: 마사지, 직류전기자극, 이온삼투요법
보조기
- 보조기 탈착 후 손의 관절운동을 하루에 두 번 정도 시행(∵보조기의 고정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주사
- 최대압통부위의 스테로이드 주사는 초기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서 사용 가능
- 건파열의 가능성에 대하여 주사 전 환자에게 미리 설명할 것
재활운동
- 근력, 지구력, 유연성 운동 사슬 훈련
수술
- 수술은 거의 불필요
참고자료
- Nam SO, Shin DJ, Kim TE, Kim SW, Cho HS. Distal Intersection Syndrome of the Wrist: Three Cases Re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urgery of the Hand 2011;16(4):259–63.
- Seo KM. Elbow Disorders.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1):50–66.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7판(2013). P714-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