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드퀘르벵 병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드퀘르벵 병이란?
발생 원인 및 기전
발생원인
발생기전
진단
증상/병력
신체검사
영상검사
감별질환
치료
비수술 치료
부목
스테로이드 주사
재활운동
수술 치료
개요
드퀘르벵 병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 단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brevis) /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 엄지를 움직이는 근육으로 손목 등의 첫 번째 구획에 위치
- 비슷한 방향으로 주행(요골경상돌기의 수배측의 집 아래)
- 엄지를 손에서부터 외전시키는 기능
Right forearm: posterior (dorsal) views
드퀘르벵 병이란?
- 손목의 가장 흔한 건염(tendonitis)
- 엄지를 움직이는 두 근육의 건을 감싸는 윤활집(tendon sheath) 병증(협착 또는 종창상태)
-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 단무지신근(extensor pollicis brevis)
- 만성 퇴행 변화: 점액성 변화, 두꺼워진 윤활집 등
- 중년 여성에서 흔히 발생
※ 동의어
- 드퀘르벵 병(de Quervain disease)
- 요골경상건초엽 (radial styloid tenosynovitis)
- 협착성 건조염(Stenosing tenosynovitis)
- 드퀘르벵 건초염(De Quervain tenosynovitis)
- gamer’s thumb
- washerwoman’s sprain
- Mother's wrist
- Mommy thumb
발생 원인 및 기전
발생원인
- 병인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과사용에 의한 손상으로 추정
- 유발요인: 손을 쥐거나 엄지의 반복적인 움직임 (cf. 산모에서는 특별한 병력 없이도 발생)
- 여자에서 더 흔함 → 요골의 경상돌기(styloid process)의 각도가 남자보다 더 크기 때문
발생기전
손목 등의 첫 번째 구획: 단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brevis),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
▼ |
해당 영역에 반복적인 자극: 비틀림, 미세손상 |
▼ |
건을 둘러싸고 있는 윤활집(synovial sheath)에 염증 발생 |
▼ |
협착윤활막염(Stenosing tenosynovitis) 발생 → 드퀘르벵 증후군(De Quervain's syndrome) |
▼ |
염증으로 인한 힘줄집이 두꺼워지면 힘줄의 미끄러짐 운동이 제한되고, 통증, 종창, 트리거 현상이 생겨서 엄지를 움직일 때에 잠김현상(locking), 들러붙음(sticking) 현상 유발 |
진단
증상/병력
- 엄지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악화되는 양상
- 손목의 요측편위를 동반한 강력한 움켜쥠, 반복적인 엄지의 사용이 요구되는 행동
- 라켓스포츠나, 골프, 낚시 같은 행동에 의해 악화되는 점진적인 손목의 요측, 배면의 통증
- 손목의 비빔소리가 나는 듯한 감각
- 엄지쪽 손목의 통증, 압통, 부종, 요골의 경상돌기 부위의 종창, 주먹을 쥘 때 통증 호소
- 엄지의 방아쇠(trigger) 증상: 힘줄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

신체검사
- 시잔: 부종 - 손목의 요측, 배면에 국소적 부종
- 촉진: 압통: 첫 번째 배측구획쪽
- 유발검사
- Finkelstein test
- 특징적인 검사
- 엄지를 손가락으로 감싸 쥐고, 손목을 척골(ulnar) 쪽으로 굴곡시켰을 때, 손목 요골의 원위부에서 통증을 느끼면, 요골 경상건초염 의심 가능
> Dr. 김지형의 코멘트
Finkelstein test 는 드퀘르병의 진단에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검사이지만 환자에게 통증을 줄 뿐 아니라 정상에서도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이를 유념할 필요가 있습니다.
- Thumb CMC grind test
- 엄지를 굴곡 및 신전할 때 잡음 발생
- 엄지를 굴곡 및 신전할 때 잡음 발생
- Finkelstein test
- 손목의 제1 신전 구획(extensor compartment) 내 국소마취제 주사: 진단에 유용
영상검사
- 손목관절의 X-ray(PA, lateral)
- 유발요인(예. 뼈 이상 등) 감별
- 건초염에 의한 석회화 관찰 가능
감별질환
- 손목의 교차증후군( intersection syndrome): 두 근육이 요측수근신근과 손목에서 교차히는 부위에서 염증을 유발하여, 좀더 근위부 손등 쪽에 통증 발생
- 수근중수관절(carpometacarpal joint, 손목손허리) 관절염
- 여성에서 많으며 엄지에 호발
- 원인은 골관절염이 많지만 외상, 감염, 류마티스, 건선 관절염으로도 발생 가능
- 손목 어느 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도 통증이 악화될 수 있으며 마찰음(crepitus) 발생 가능
- 기타
- 통풍(gout)
- 요골신경의 포착증후군(Wartenberg's syndrome)
치료
비수술 치료
- 안정: 통증을 조장하는 움직임 회피
- 얼음찜질: 통증/부종 감소
- 약물: NSAIDs, 국소부신피질스테로이드 주사요법
- 물리치료: 직류전기자극, 이온삼투요법
부목
- 엄지나선상부목(Thumb spica cast): 손목과 엄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 적당한 관절가동범위운동 위해 하루에 수차례 제거할 것(∵오랜 고정으로 인한 합병증 방지)
> Dr. 김지형의 코멘트
|
스테로이드 주사
- 첫 번째 수배측 구획의 건주위 스테로이드 주사
- 건파열과 같은 스테로이드 주사의 부작용을 염두에 둘 것
- 국소부신피질스테로이드 주사요법 → 좀 더 신속한 통증 경감
(methylprednisolone 20~40 mg [또는 triamcinolone 20~40 mg]+lidocaine 1% 2 cc)
- 국소부신피질스테로이드 주사요법 → 좀 더 신속한 통증 경감
> Dr. 김지형의 코멘트
|
재활운동
- 적절한 통증 조절 후에 시행
- 전완 근육조직의 유연성, 근력, 지구력 부족에 대한 재활프로그램
수술 치료
- 비수술적 치료(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 수술방법: 감압술
> Dr. 김지형의 코멘트
|
참고자료
- Seo KM. Elbow Disorders.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1):50–66.
- 대한통증학회. 통증의학 4판(2012). p175-176
- Nakamura T. De Quervain’s Tenosynovitis. J Wrist Surg 2019;8(2):89.
- Goel R, Abzug JM. de Quervain’s tenosynovitis: a review of the rehabilitative options. Hand (N Y) 2015;10(1):1–5.
- Wu F, Rajpura A, Sandher D. Finkelstein’s Test Is Superior to Eichhoff’s Test in the Investigation of de Quervain’s Disease. J Hand Microsurg 2018;10(2):116–8.
- Allbrook V. “The side of my wrist hurts”: De Quervain’s tenosynovitis. Aust J Gen Pract 2019;48(11):7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