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통증: 원인 및 감별진단
목통증의 원인
경부 축성 통증(axial neck pain, cervical axial pain)
임상양상
경부 축성 통증(cervical axial pain) vs. 경추신경근이나 후근신경(dorsal root ganglion)이 자극되어 발생하는 통증
경부 축성 통증: 추간판성 통증인가? 척추후관절성 통증인가?
경부 축성통증의 진단적 접근
목 통증: 진단적 접근
병력
※ 적신호("red flags")
신체검사
영상 검사
X-ray
MRI
목 통증: 원인 및 감별진단
목통증의 원인
- 목 통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매우 다양
- 분류방법: 원인에 따른 분류; 중증도와 빈도에 따른 분류
- 다음과 같은 원인이 가장 흔함
- 축성 목 통증(axial neck pain)
- 편타성 질환(whiplash associated disorder, WAD)
- 경추 신경근병증(cervical radiculopathy)
원인에 따른 분류 생역학적 원인들(biomechanical causes)
류마티스 원인들(rheumatic causes)
그 외 원인들
|
경부 축성 통증(axial neck pain, cervical axial pain)
- 경추부 근육과 상부 등 근육(upper back muscle)의 연축(spasm)으로 인한 통증
- 발생기전: 다음과 같은 유발인자로 인해 경추부 근육과 인대가 손상되어 발생
- 관련인자
- 자세(posture)
- 수면습관(sleep habits)
- 인체공학관련 문제(ergonomics) : 컴퓨터 모니터 화면 주시
- 스트레스
- 만성 근육 피로(chronic muscle fatigue)
- 통증으로 인한 자세 변형(shoulder, temporomandibular joint, craniocervical joint)
- 관절부위의 퇴행성 변화(degenerative changes of the cervical discs or facet joints)
- ‘단순 경부 통증(uncomplicated neck pain)’, ‘경부 긴장(cervical strain)’으로도 불림
임상양상
경부 축성 통증(cervical axial pain) vs. 경추신경근이나 후근신경(dorsal root ganglion)이 자극되어 발생하는 통증
경부 축성 통증(cervical axial pain) | ↔ | 경추신경근이나 후근신경(dorsal root ganglion)이 자극되어 발생하는 통증 |
|
|
- 실제 임상에서는 통증영역만으로 축성통증과 신경근통증을 명확하게 구별하기는 어려움
- 척추신경근통증이 항상 상지 원위부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
- 추간판이나 척추후관절통증의 연관통도 상지의 원위부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
경부 축성 통증: 추간판성 통증인가? 척추후관절성 통증인가?
실제 임상에서 경부축성통증환자의 통증의 원인이 과연 추간판성통증인지, 척추후관절성 통증인지를 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 감별이 어려운 이유 임상증상
영상검사(MRI 등)
|
경부 축성통증의 진단적 접근
추간판탈출증이 뚜렷하지 않은 축성통증의 경우 | → |
|
보존적 치료(투약,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부축성통증의 경우 | → |
|
신체 검사, 영상학적 검사에서 척추후관절성통증을 뚜렷하게 시사하지 않는 경우 | → |
|
① 경부축성통증환자 중 척추후관절성통증이 차지하는 비율은 대체적으로 35∼65% 정도이며, 대체로 추간판성통증보다는 더 높다.
목 통증: 진단적 접근
병력
- 병력은 손상기전(the mechanism of injury)과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 현재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 시급히 치료하지 않으면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는 원인 질환이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
※ 적신호("red flags")
- 요추부(lumbar spine)의 경우처럼 적신호("red flags")을 평가하여 심각한 질환을 우선 배제할 것
- 둔상(blunt trauma) 병력이 없는 경우 심각한 병변을 배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적신호("red flags") 유무 평가
- 열이 있는 경우
- 체중감소
- 악성종양의 병력
- 심각한 외상
- 골다공증
- 50세 이상의 고령
-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 알코올이나 약물 중독
- 상하지 경직
- 배뇨 및 배변 장애
- 적신호가 있는 경우 악성 종양이나 감염 등과 같은 적극적으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질환일 가능성 있음
- 악성 종양이나 감염 등과 같은 심각한 질환에 의해 경부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묾(약 0.4% 미만)
신체검사
☞ [참조] 신체검사 참조
시진
촉진
운동범위(Range of motion)
신경학적 검사
특수 수기(Special maneuvers)
|
영상 검사
-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관련이 없는 이상 소견들을 흔히 발견할 수 있어서 환자의 주소인 경부 통증에 대해서는 잘못된 평가를 내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X-ray
시행을 권고하는 경우
시행을 고려하는 경우
목에 둔상을 입은 목통증 환자
|
MRI
- MRI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
- 척수병증(myelopathy), 감염, 혹은 신생물(neoplasm)이 의심되는 경우
- 척수신경근통(radicular pain)을 호소하는 환자가 운동, 반사 저하를 보일 경우
- 6~8주 치료 후에도 척수신경근통이 사라지지 않은 경우
참고자료
[목 통증: 원인 및 감별진단]
- Douglass AB, Bope ET.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osterior neck pain in family practice. J Am Board Fam Pract 2004;17 Suppl:S13–22.
- KH Choi. Neck Pain.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1):33–8.
- Lee JH. Diagnosis and Non-surgical, Minimal Invas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Cervical Axial Pain. Clinical pain 2014;13(2):68–75.
- Manchikanti L, Boswell MV, Singh V, et al. Prevalence of facet joint pain in chronic spinal pain of cervical, thoracic, and lumbarregions. BMC Musculoskelet Disord. 2004; 5: 15.
- Riew KD, Ecker E, Dettori J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for the management of axial neck pain in the absence of radiculopathy or myelopathy. Evid Based Spine Care J 2010;1(3):45–50.
[목 통증: 진단적 접근]
- Nordin M, Carragee EJ, Hogg-Johnson S, et al. Assessment of Neck Pain and Its Associated Disorders. Eur Spine J 2008;17(Suppl 1):101–22.
- Douglass AB, Bope ET.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osterior neck pain in family practice. J Am Board Fam Pract 2004;17 Suppl:S13–22.
- KH Choi. Neck Pain.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1):33–8.
- Heller CA, Stanley P, Lewis-Jones B, Heller RF. Value of x ray examinations of the cervical spine. Br Med J (Clin Res Ed). 1983;287:1276-8
- Cohen SP, Hooten WM.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eck pain. BMJ 2017;358:j3221.
- Cohen SP. Epidem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ck pain. Mayo Clin Proc 2015;90(2):28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