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경련제(항뇌전증제)


목차

개요

항뇌전증제의 종류

  • 19세기 중반에 Locock에 의하여 potassium bromide가 뇌전증치료제로 유효함이 처음으로 보고됨
  • 미국이나 유럽에서 공인되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 들어 오지 못한 약물: retigabine, eslicarbazepine acetate

기존 항뇌전증제

새로운 항뇌전증제

  • Phenobarbital(1912)
  • Phenytoin(1938)
  • Ethosuximde(1940)
  • Carbamazepine(1954)
  • Primidone(1954)
  • Diazepam(1965)
  • Valproate(1967)
  • Felbamate(1993)
  • Gabapentin(1995)
  • Lamotrigine(1996)
  • Levetiracetam(2000)
  • Oxcarbazepine(1990)
  • Pregabaline(1985)
  • Tagabine(1997)
  • Topiramate(1996)
  • Vigabatrin(1985)
  • Zonisamide(1989)
  • fosphenytoin
  • tiagabine
  • stiripentol
  • rufinamide
  • lacosamide
  • eslicarbazepine acetate
  • retigabine

 

 

작용기전

  • 일반적으로 새로운 항뇌전증약물들은 기존의 약물보다는 차별화된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 일반적으로 광범위 효과 새로운 항뇌전증약물들(lamotrigine, levetiracetam, topiramate, zonisamide; 기존의 약물인 valproic acid 포함)은 다수의 기전을 가지고 있다. 

 

항뇌전증제의 작용기전

Sodium channel blockers

  • Phenytoin
  • Carbamazepine
  • Oxcarbazepine
  • Lamotrigine
  • Zonisamide
  • Lacosamide
  • Rufinamide

GABA enhancers

  • Benzodiazepines
  • Tiagabine
  • Vigabatrin
  • Phenobarbital

Multiple mechanisms

  • Valproic acid
  • Topiramate
  • Felbamate
  • Phenobarbital

Potassium channel openers

  • Retigabine

Other

  • Levetiracetam
  • Stiripentol
Calcium channel blockers
  • Topiramate
  • Lamotrigine
  • Ethosuximide
Glutamate receptor antagonists
  • Topiramate
  • Felbamate
Gabapentenoids
  • Gabapentin
  • Pregabalin
Diuretics
  • Bumetanide
  • Acetazolamide

 

주요 작용 기전 

  • Sodium channel blockers

voltage-dependent sodium channel의 fast inactivation에 작용

voltage-dependent sodium channel의 slow inactivation에 작용

  • 1세대(phenytoin, carbabazepine)
  • 2, 3세대: lamotrigine, oxcarbazepine, eslicarbazepine acetate, rufinamide
  • Lacosamide

 

  • Gabapentin, pregabalin: high voltage activated calcium channels의 alpha2-delta subunit에 작용해 신경 전달물질의 방출을 조정하여 항발작 효과를 일으킨다. 
  • lamotrigine, levetiracetam, zonisamide: 어느 정도 voltage-activated calcium channels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 기존의 약물들과는 완전히 다른 작용기전으로 작용하는 약물
    • Levetiracetam: synaptic vesicle protein 2A(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의 조정)에 작용
    • retigabine: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s에 작용

 

병용요법

  • 작용기전이 다른 약물들의 병용, 보편적인 작용기전인 sodium channel 폐쇄 약물에 다수의 기전을 가지는 약물의 병용이 효과적이다.
  • 임상적으로 병용의 효과가 가장 잘 알려진 조합: valproic acid + lamotrigine
  • 같은 기전, 특히 sodium channel 폐쇄 기전을 가진 약물들을 병용하였을 경우 어지러움, 두통, 복시, 운동실조 등의 이상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약물동력학/약물 상호작용

대사

  • carbamazepine, phenytoin, phenobarbital: cytochrome P450 (CYP) 효소계와 glucuronidation 관여 효소의 유도 작용
  • valproic acid: 효소 억제 → lamotrigine, rufinamide의 혈중 농도 상승 유발 
  • Gabapentin/levetiracetam/pregabalin/vigabatrin/lacosamide 등: 다른 항뇌전증약물과 상호작용이 없거나 미약
  • Topiramate/lamotrigine/oxcarbazepine/rufinamide/eslicarbazepine acetate: 효소 유도 약물에 의해서 혈중 농도 감소
  • Topiramate/oxcarbazepine/eslicarbazepine acetate: CYP2C19 억제 → phenytoin의 혈중 농도 상승 유발 가능


항경련제의 대사

CYP1A2

CYP2C8

CYP2C9

  • Carbamazepine
  • Carbamazepine
  • Carbamazepine
  • divalproex
  • phenobarbital
  • phenytoin

CYP2C19

CYP3A4

UDP-glucuronsyltransferases

  • Divalproex
  • Felbamate
  • Phenobarbital
  • Phenytoin
  • Zonisamide
  • Carbamazepine
  • Ethosuximide
  • Tiagabine
  • Zonisamide
  • Divalproex
  • Lamotrigine
  • Lorazepam

 

 

기존 약물

새로운 약물

  • cytochrome P450 (CYP) 효소 system과 glucuronidation에 관여하는 효소의 유도 작용을 가지고 있다.
  • 심각한 간 질환 상태에서 조심스런 투여

 

  • CYP system을 거치지 않거나 미약하고 약물 그 자체가 신장으로 배설되는 경우가 많다.  → CYP system의 유도나 억제 효과가 없거나 미약하다. 
  •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환자에서 용량 감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 단백질 결합도 상대적으로 낮다. 

❶ 병용하고 있는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약물 상호작용

  • 효소 유도 약물에 의해 혈중 농도가 감소되어 그 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 약물
  • 경구용 피임약
    • 부신피질호르몬
    • 면역억제약물(대부분)
  • 항암치료약물(상당수)
    • 항응고제(phenytoin의 경우는 예측할 수 없음)
    • 심혈관 계통 약물(calcium 폐쇄 항고혈압약물, 상당수의 항콜레스테롤약물 등)

 

  • 새로운 항뇌전증약물

valproic acid

  • 효소 억제 효과

새로운 항뇌전증약물

  • 상대적으로 다른 비뇌전증약물과의 상호작용이 없거나 미약하다. 
  • 상호 작용이 없는 약물: gabapentin, levetiracetam, pregabalin, vigabatrin

 

약물동력적 특징은 새로운 항뇌전증약물을 상황에 따라서(매우 중요한 다른 약물을 복용하거나 예정인 경우) 우선적인 약물로 선택하는 데 중요한 요인입니다.

 


이상 반응

주요 이상반응

내성

  • 항뇌전증약물을 선택하는 데 가장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 기존의 약물과 비교하여 새로운 약물이 일반적으로 연구의 증거는 부족하지만 양호한 경향을 보인다.

중추신경계 부작용

  • 중추신경계 작용하는 약물이기 때문에 중추신경계에 관련된 이상 반응이 흔히 발생
  • 용량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
  • Sodium 폐쇄 약물: 어지러움(복시, 운동실조)
  • Lamotrigine: 불면
  • Levetiracetam: 행동 이상(과민, 심한 감정 기복, 정신병 등)

기타 부작용

신결석

  • Topiramate, zonisamide: carbonic anhydrase 억제 작용  → 신석(nephrolithiasis) 발생 가능 (신결력 병력 시 금기)

피부 발진

  • 새로운 약물: lamotrigine, oxcarbamazepine, zonisamide
  • 기존의 약물: carbamazepine, phenytoin
  • 항뇌전증약물에 피부 발진 병력이 있는 경우 교차반응 발생 가능 → (사용 가능 약물) gabapentin, levetiracetam, pregabalin, valproic acid

시야결손

  • Vigabatrin: 비가역적인 시야 결손 유발가능 

 

항뇌전증약의 독성: 효과가 비슷한 경우 부작용이 적은 약제 선택

Phenytoin

여드름, 남성형 털과다증, 잇몸증식, 얼굴형태변화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소아나 젊은 여성에는 권장되지 않는다.

Phenobarbital, primidone

진정, 인지기능 장애, 행동이상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젊은 환자나 각성과 인지능력을 요구하는 직업 또는 사회 활동을 하는 사람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

간 미소체 효소를 유도하는 항뇌전증약

경구용 피임약 대사를 촉진하므로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에서 사용 시 주의를 요한다.

Valproate

신경관결손 등 선천성 기형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임신 중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되며,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에게도 사용을 가급적 피한다.

 vigabatrin

정신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topiramate, zonisamide

신결석 병력이 있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개발된 항뇌전증약

기존 약물과 비교하여 효과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부작용 면에서는 우수(사용 경험이 상대적으로 짧아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부작용 가능성은 존재) 

Felbamate

드물지만 치명적인 부작용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❶ carbamazepine, oxcarbazepine, phenytoin, phenobarbital, primidone 등

❷ lamotrigine, oxcarbazepine, gabapentin, zonisamide, levetiracetam 등

 

항뇌전증약의 적응증 및 부작용

성분

적응증

용량 관련 부작용

특이 부작용

carbamazepine 

부분발작, 전신발작

복시(diplopia), 어지럼, 멀미, 두통, 조화운동불능(ataxia), 저나트륨혈증

저나트륨혈증, 심장전도장애

oxcarbazepine 

부분발작, 전신발작

어지럼, 멀미, 구토, 조화운동불능, 복시, 저나트륨혈증, 떨림(tremor)

저나트륨혈증, 심장전도장애, 발적

phenytoin

부분발작, 전신발작

조화운동불능, 안진(rystagmus), 복시, 혼돈(confusion), 진정(sedation), 흐려보임(blurred vision)

혈액질환(blood dyscrasia), 발진(rash), 간독성

fosphenytoin

전신발작

심장기능 장애, 저혈압

 

valproic acid 

부분발작, 전신발작, absence, myoclonic

떨림, 설사, 졸림, 간수치 상승, 구토, 조화운동불능

췌장염, 발적, 혈소판 감소증

gabapentin 

부분발작

졸림, 피로, 조화운동불능, 복시, 체중증가

백혈구 감소증

lamotrigine 

부분발작, 전신발작

어지럼, 피로, 조화운동불능, 두통, 졸림, 메스꺼움, 구토, 불면증

스티븐스-존슨증후군(Stevens- Johnson syndrome), 재생불량 빈혈, 전혈구감소증(pancytopenia)

topiramate 

부분발작, 전신발작

사고, 집중력 장애, 기억력 장애, 어지럼, 조화운동불능

신결석, 감각 이상, 좁은앞방각녹내장(narrow-angle glucoma)

zonisamide 

부분발작, 전신발작

진정, 어지럼

피부발진, 재생불량빈혈

clobazam 

부분발작, 전신발작

진정

 

 

 


주요 항뇌전증제: 1세대

Carbamazepine

기전
  • Na+ 이온 통로 차단 → 뇌에서 비정상적인 신경충동 전파 감소

약동학
  • 간에서 자신의 약물대사를 유도, 활성대사물을 가짐
    • Cytochrome P450(CYP3A4)의 기질, CYP1A2 및 CYP2C8에 의해 약간의 대사를 거침
    • CYP1A2, CYP2C, CYP3A isoenzyme의 유도약물
    • 이들 효소가 대사하는 약물의 제거를 증가시킨다.
  • 대사/배설 hepatic monooxygenase에 의해 carbamazepine-10,11-epoxide(CBZ-E)로 산화 → microsome epoxide hydrolase에 의해 trans-CBZ-10,11-diol로 변환 → 소변배설
    • CBZ-E: 활성대사물로 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효과 및 유사한 부작용을 가짐
  • 치료 농도 범위가 좁은 약물 → 혈중 약물 농도 모니터링 필요

치료 용도
  • 뇌전증발작 조절
    • 부분발작, 이차적으로 강직-간대성 발작에 효과적
  • 삼차신경통
  • 양극성장애

부작용
  • 혈액계: 혈소판 감소증, 재생불량빈혈, 무과립구증


 

phenytoin, fosphenytoin

개요
  • fosphenytoin: phenytoin의 전구약물, 혈액 중에서 phenytoin으로 신속히 전환

기전
  • Na+ 통로에 직접 작용하여 통로의 비활성상태에서부터 폐쇄상태로의 회복속도를 늦춘다. → 전압-개폐 나트륨통로 차단

약동학
  • 약물의 90%가 혈장 albumin과 결합
  • 대사
    • CYP2C 및 CYP3A군 및 UGT효소계에 의해 대사된다.
    • P450 효소계를 억제시키는 약물(chloramphenicol, dicumarol, cimetidine, disulfiram, isoniazid) → phenytoin의 혈장농도↑
    • P450 효소계를 유도하는 약물(carbamazepine) → phenytoin의 혈장농도↓
    • Phenytoin → P450효소계 유도 → 경구피임제, quinidine, doxycycline, cyclosporine, metha­done 및 levodopa의 대사 ↑

치료용도
  • 뇌전증발작 조절: 부분발작, 전신 강직-간대성 발작, 뇌전증지속증



valproic acid, divalproex

개요
  • Valproic acid(VPA): 8가 탄소 지방산의 구조를 갖는다.
    • 1967년 유럽에 처음 도입된 이래 특발성 전신 간질뿐 아니라 소아 간대 근경련 간질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 Divalproex sodium: valproate와 valproic acid의 복합제
    • 위장관에 도달하면 valproate로 전환된다.
    • Valproic acid의 위장관 내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개발됨

기전
  • 나트륨 통로 차단, GABA transaminase 차단, L형 칼슘통로의 차단작용

약동학
  • CYP2C9, UGT,epoxide hydrolase계의 대사 억제
  • 알부민 결합(90% 이상)

치료용도
  • 뇌전증발작 조절: 부분발작, 전신발작

부작용
  • 중추신경계
  • 체중증가
  • 소화기계: 구토, 복통, 간독성
  • 혈액계: 혈소판 감소증, 혈소판 기능장애
  • 기타: 탈모, 내분비 변화

 

 

Phenobarbital

개요
  • 효과적인 항뇌전증제
  • 천연 GABAA 수용체에 훨씬 덜 직접적인 효현작용 발휘

기전
  • 다음과 같은 기전에 의해 뇌전증 활성도 감소
    1. GABA-매개 연접 억제 증강
    2. AMPA수용체-매개 흥분성 전달 억제
  • GABA 수용체의 allosteric 부위에 결합하여, Cl 이온의 유입기간을 매우 증가시킴으로써 내인성 GABA의 작용을 강화시킴

치료용도
  • 모든 발작 유형
    • 초점발작(focal seizure), 긴장간대발작(tonic-clonic seizure)
    • 열성발작에 가장 효과적 (cf. 5 mcg/mL 이하 농도: 열성 발작의 재발 예방에 효과(-))

최소한의 진정을 일으키는 농도에서 초점발작(focal seizure)과 긴장간대발작(tonic-clonic seizure)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 Phenobarbital과 methylphenobarbital 의 3차 입체 형태들은 phenytoin과 유사 → 두 화합물들 모두 phenyl 고리를 가지고 있고 부분발작들에 효과적

비고
  • 대부분 phenobarbital의 치료 농도는 10 mcg/mL~40 mcg/mL까지 범위 내
  • Barbiturate에  의한 신경세포 활성도의 심한 억제는 barbiturate 혼수라고 알려진 뇌파검사상의 무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이 상태는 유의하게 감소된 뇌 산소소모와 감소된 뇌혈류와 관련이 있다. 
  • 이 효과들은 산소배달 감소(예: 저산소증,심한 빈혈, 쇼크, 뇌부종) 혹은 산소요구량 증가(예: 간질지속증)와 관련된 병적 상태에서 허혈성 손상으로부터 뇌를 보호할 수 있다. 
  • Barbiturate 혼수를 일으키려면 일시 대량투여 후 약물의 중추신경계 농도를 치료농도로 유지하도록 주입(또는 다발적 추가 대량 투여)이 뒤따라야 한다.


 

ethosuximide

개요
  • 소발작에만 효과적인 항뇌전증제
  • absence seizure에서 볼 수 있는 율동적인 대뇌 전류 발생을 주관하는 시상의 pace maker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특이적 항뇌전증 작용을 나타낸다.

기전
  • 시상에 있는 Na+ 통로에 대한 T형 칼슘통로 억제(phenytoin과 유사) → 신경세포의 동기화된 흥분현상(synchronized firing)을 막는다.
이미지
치료용도
  • 소발작에만 효과적
  • 소발작 뇌전증 증후군에서 소발작 외에 동반될 수 있는 전신강직간대발작은 막지 못한다.

부작용
  • 신경계 부작용은 적으나 소화기계 부작용이 흔하다.

 

  

                                                                                                                                                                                                                             

주요 항뇌전증제: 2세대, 3세대 항뇌전증제

  • 1990년 이후 다양한 약리기전을 가지며 부작용을 대폭 개선한 새로운 항뇌전증제가 개발되면서 뇌전증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새로운 항뇌전증제

  • 1980년대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
  • felbamate: 무형성 빈혈과 간독성의 이상 반응과 난치성 부분뇌전증에서의 미약한 효과로 인해 주로 Lennox-Gastaut 증후군 등의 소아난치성뇌전증에 사용되고 있다.
  • tiagabine: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를 보인다.
  • Rufinamide: 희귀의약품(Lennox-Gastaut 증후군에만 적응증을 가진다.)
  • Stiripentol: 희귀의약품(severe myoclonic epilepsy in infancy (Dravet 증후군)에만 적응증을 가진다.)
  • Vigabatrin: 비가역적인 시야 결손의 가능성 때문에 주로 유아 경련(infantile spasms)의 치료에 국한되어 사용된다.
  • fosphenytoin: phenytoin의 주사 요법으로 인한 합병증(특히 피부 자극)을 극복할 수 있다는 목적으로 개발된 phenytoin의 전구 약물


 

oxcarbazepine

개요
  • carbamazepine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유도체: Carbamazepine의 케톤 유도체, 전구약물
  • 효과는 carbamazepine과 유사하나 부작용의 빈도가 낮고 약물 상호작용도 적다.

기전
  • 나트륨통로 차단 → 비정상적인 발작의 전파 차단
  • 칼슘통로 조절

약동학
  • carbamazepine보다는 효력이 약한 CYP3A4 및 UGT의 유도약물
  • 인체 투여 후 MHD (10-monohydroxy-carbazepine)로 신속히 전환 → 작용 발현
  • 약물의 단백질결합은 60%이지만 대사물의 결합은 33~38%로 더 낮다. 
  • 약물 상호작용: 간에서 어느 정도 효소활성화를 촉진하기는 하지만 carbamazepine에 비해 효소유도작용이 약하다. 자가 분해효소유도작용이 없다.
    • ertythromycin, cimetidine, warfarin 등과 같은 약물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 
    • 장기간 사용에도 골다공증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다.

치료용도

<효능/효과>(정제)

  • 뇌전증  
    1. 부분발작(이차적인 전신발작을 수반하는 경우 포함)
    2. 전신 강직간대발작
  • 부분발작, 전신강직간대발작

부작용
  • 피부발진: carbamazepine보다 적다. carbamazepine과의 교차반응(cross reaction) 가능(25%) → carbamazepine에 대하여 피부발진이 있던 경우 oxcarbazepine에도 피부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 저나트륨혈증(3%): 대부분은 증상이 없으나 노인연령에서는 주의를 요한다.
  • 재생불량빈혈: 발생위험이 낮다.

❶ carbamazepine의 치명적인 부작용

 

Eslicarbazepine acetate

개요
  • 화학 구조: (S)-(-)-10-acetoxy-10,11-dihydro-5H-dibenz[b,f]azepine-5-car-boxamide
  • carbamazepine 및 oxcarbazepine과 유사
    1. 이상 반응 발현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carbamazepine과 비교할 때 대사체인 carbamazepine-10,11-epoxide가 없다는 점
    2. oxcarbazepine과의 비교: oxcarbazepine 자체 및 R-licarbazepine에의 노출이 감소되고 약리학적으로 활동성인 eslicarbazepine (S-licarbazepine)로 전환

기전
  • 정확한 작용 기전은 불확실
  • 추정기전: 경쟁적으로 voltage-gated sodium channel(sodium channel의 site 2)의 불활성 상태에 작용 → 지속적인 반복적 발포, ictogenesis, 발작 파급 제한

약동학
  • 흡수: 구강 투여 후 급속도로 흡수(90% 이상의 bioavailability)
  • 대사
    • eslicarbazepine acetate 투여 → 대사물질: ① eslicarbazepine (S-licarbazepine)(main); ② R-licarbazepine, oxcarbazepine (by Non-microsomal CYP system)
    • 95%는 혈중에서 eslicarbazepine으로 존재
    • carbamazepine-10,11-epoxide로 대사되지 않고 자가유도 대사가 없다. 
  • 반감기: 13-20시간. 4-5일 내에 안정상태 농도에 도달. 40% 이하로 단백질과 결합
  • 배설: glucuronidation에 의해 비활성화되거나 변화하지 않은 채로 주로 신장으로 배설. Creatinine clearance 60 mL/min 이하에서 감량 필요

이미지
약물 상호작용
eslicarbazepine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 Phenytoin: eslicarbazepine 대사↑ → 혈중 농도 31-33% ↓

eslicarbazepine가 영향을 미치는 약물
  • CY-P2C19 억제 → phenytoin 대사↓ → 혈중 농도31-35% ↑ 
  • phenytoin 이외의 다른 항뇌전증 약물들과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약물동력학적 상호작용이 없는 듯하다. 
  • levonorgestrel, ethinyloestradial의 혈중 농도 감소(oxcarbazepine에 비하면 50% 정도의 영향)

치료용도
  • 부분뇌전증에서의 부가 요법(유럽: 공인, 우리나라: 비공인)

용량/용법
  • 초기용량: 400 mg qd
  • 1-2주 800 mg qd → 효과 및 내성을 고려해 최대 1,200 mg/day까지 증량가능

부작용
  • 가장 흔한 이상 반응: 어지러움, 졸림
  • 기타 이상반응: 두통, 조절 이상, 주의 방해, 복시, 흐릿한 시야, 현훈, 구역, 구토, 설사, 피부발진 등
  • PR 간격 연장: 1,200 mg/day, 2도 혹은 3도 방실차단을 가진 환자에서 투여하지 말 것



Lamotrigine

개요
  • 1990년에 유럽, 1994년 미국, 우리나라에 도입

기전
  • 신경세포의 전압의존성 나트륨 통로 차단: 신경전접합부의 나트륨 통로 방해 → 막 안정화효과 → 반복되는 나트륨 이온의 내부이동 차단
  • 글루탐산염 방출 억제: 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에 작용하는 흥분성 아미노산 길항
  • 칼슘통로 차단

약동학
  • 구강 투여 후 3시간 이내에 최고 농도에 도달
  • 대사/배설: 주로 간에서 대사. 투여량의 43-87%가 소변에서 주로 glucuronide 대사물의 형태로 배설
  • 반감기: 22.7-37.4
    • 효소 유도 항뇌전증제(phenytoin, phenobarbital, carbamazepine 등) 투여 시 반감기 단축(13.5-15시간)
    • valproic acid 병용 시 반감기 연장(48.3-59시간)
  • LTG자체는 CBZ의 혈중농도를 올리는 것 외에 다른 약물의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치료용도
  • 신병병증성 통증
  • 양극성 장애 유지기 치료(미 FDA 승인): 양극성 장애의 우울증 삽화 예방에 효과가 입증된 최초의 약물

부작용
  • 피부 발진
  • 두통, 어리럼증, 피로, 졸림, 운동실조
  • 구역, 구토, 설사



zonisamide 

개요
  • Sulfonamide 유도체
  • 다른 항뇌전증제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benzisoxazole 파생물
  • 1989년 일본에서 처음 시판된 약제
  • 6세 이상의 어린이에게도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제

기전
  • sodium channels, T-type calcium channels, glutamate 수용체에 작용한다.
  • 전압-개폐 나트륨통로, T형 칼슘 통로 동시 차단
  • 탄산탈수소효소 억제

약동학
  • CYP3A4 효소에 의해 대사
  • 반감기가 길어서 하루 한 번 복용 가능
  • 좋은 생체이용률, 선형 동태, 낮은 단백결합, 요배설, 긴 반감기(1-3일)
  • 약물 상호작용: 다른 항뇌전증 약들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효소 활성화를 일으키는 약물에 의하여 혈중농도가 감소한다.

치료용도
  • 광범위항뇌전증제: 부분발작, 전신강직성-간대성발작,  영아연축, 일부 간대성근경련증(myoclonia)

용법
  • 성인: 용량 100-600 mg/d, 소아: 4~12 mg/d   

부작용
  • 졸음,  어지럼, 운동실조, 인지장애
  • 피부발진, 재생불량빈혈, 간손상, 요로결석

 

 

Lacosamide 

개요
  • 부분뇌전증에서 부가 요법으로 공인된 약물
  • 화학 구조: R-enantiomer of 2-acetamido-N-benzyl-3-methoxypropionamide의 amino acid

기전
  • 새로운 항뇌전증 기전(2가지)
    1. sodium channel의 slow activation의 향상
    2. collapsin-response mediator protein 2 (CRMP-2)와의 결합

sodium channel의 slow activation의 향상

collapsin-response mediator protein 2 (CRMP-2)와의 결합

  • sodium channel의 slow inactivation에 작용(fast inactivation에 작용하지 않는다.) → 활성화의 역치 정상화 → 병리생리적인 과반응 감소
    (cf. 대부분의 나트륨통로차단제는 fast inactivation 기전을 강화시킨다.)
  • CRMP-2와의 결합을 통해
    • 신경영양성 인자들(neurotrophic factors)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 분화, polarization, 축색돌기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 뇌전증의 병리생리가 포함하고 있는 신경 연결의 싹틔움(sprouting) 및 이상적인 재배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참고: CRMP-2란?

  • CRMP-2는 신경발달에 관여한다.
  • excitotoxicity 및 apoptosis로부터 신경 보호에도 관여한다.

CRMP-2와의 lacosamide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lacosamide는 증후성 및 질병-수정(disease-modifying)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약동학
  • 구강 투여로 거의 완전히 흡수되고 4시간 내에 최고 혈중 농도에 이르게 되고 배설 반감기는 약 13시간이고 선(linear)의 약물동력학을 가진다. 
  • 15% 이하로 적게 단백질과 결합한다. 
  • 배설: 신장배설(약 40%는 변화되지 않은 채, 30%는 비활동 물질인 O-desmethyl metabolite로 demethylation됨)
  • 약물 상호작용

타 약물에 대한 영향

  • CYP 효소들을 유도하거나 억제하지 않는다. 
  • 다른 항뇌전증 약물의 약물동력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타 약물로부터의 영향

  • Rifampicin같은 효소 유도제들은 lacosamide의 혈중 농도를 감소 시킬 수 있다.
  • carbamazepine, valproic acid, omeprazole, metformin, digoxin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경구용 피임약(ethinylestradiol, levonorgestrel)과 상호작용이 없다. 

 

치료용도
  • 부분발작에만 사용하는 좁은 범위(narrow spectrum)의 항뇌전증제

용량/용법
  • 다양한 제형: 정제, 시럽, 주사제
  • 하루 50 mg 두 번 → 1주일에 100 mg/day로 증량 가능 → 효과 및 내성에 따라 증량(유지용량: 200, 400 mg/day)

부작용
  • 어지러움, 두통, 구역, 복시, 피곤함, 졸림 등
  • 두통을 제외하고 용량과 관계가 있었다. 
  • 구토, 피로, 운동실조, 시각 이상, 복시, 진전, 안구진탕 등

 


Rufinamide

개요
  • 화학 구조: 1-[(2,6-difluorophenyl)methyl]-1H-1,2,3-triazole-4 carboxamide의 triazole 파생물 
  • 현재 상용되고 있는 항뇌전증제와 구조적인 차이가 있는 약물

기전
  • 작용 기전: 불확실
  • Voltage-dependent sodium channels의 불활성 상태 연장 → 신경 sodium 의존성 활동 전위의 지속적인 반복적 발포 제한 
  • Benzodiazepine 활용에 효과가 없고 glutamate, adrenergic, tryptophan, histamine 혹은 muscarinic cholinergic 수용체들과 상호작용이 없다. 
  • maximal electro-shock으로 유발된 긴장성-간대성 발작, pentylenetetrazol, bicuculline, picrotoxin로 유발된 간대성 발작을 억제한다.

 

  • 불활성화 상태의 나트륨 채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반복적인 나트륨-의존성 활동 전위의 발생 제한

약동학
  • 구강 투여로 복용량의 최대 85%까지 흡수
  • 낮은 단백질 결합률: 음식물 섭취가 약물의 최고 혈장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배설 반감기: 8-12시간
  • 대사: 간에서 대부분 대사(hydrolysis, oxidation), 비활동 대사 물질들은 소변으로 배설
  • CYP system에 의존적이지 않다. 변화하지 않은 채로 배설되는 양은 매우 적다(소변 및 대변 각각 2%).

약물 상호작용

타 약물에 대한 영향

  • CYP2E1 isoenzyme 억제 효과(미약): CYP2E1의 기질인 약물들의 경우 혈중 농도 증가 가능
  • CYP3A4 isoen-zyme 유발 효과(미약): CYP3A4의 기질인 약물들 농도 감소 가능
  • 타 약물의 혈중 농도가 감소하는 경우: 경구용 피임약의 성분들 (ethinyles-tradiol과 norethinedrone), triazolam
  • Rufinamide의 타약물에 대한 영향(clearance에 대한 영향)
    • 영향이 없는 약물: topiramate, valproate
    • clearance가 증가하는 약물: Carbamazepine, lamotrigine
    • clearance가 감소하는 약물: phenobarbital, phenytoin
      →  phenytoin(용량 감소 필요)을 제외하고는 용량 조절 불필요

타 약물로부터의 영향

  • Rufinamide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는 약물: valproate
  • Rufinamide의 혈중 농도에 영향이 없는 약물: topiramate, lamotrigine, benzodiazepines
  • Rufinamide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는 약물: carbamazepine, vigabatrin, phenytoin, phenobarbital, primidone

치료용도
  • Lennox-Gastaut 증후군의 부가적 치료(우리나라: 희귀의약품)

용량/용법
  • 하루 200 mg씩 두 번 → 2일 이상 간격으로 하루에 400 mg씩 효과와 이상 반응을 고려해 증량(최대 3,200 mg/day)
  • Valproate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적정은 좀 더 천천히 적은 목표 용량으로 투여되어야 한다.

부작용
  • 졸림, 구역, 구토, 식욕부진, 어지러움, 복시, 운동실조
  • QT 간격 단축: QT 단축 증후군 가족력이 있는 경우 투여하지 말 것

 

 

tiagabine

개요
  • nipecotic acid 유도체

기전
  • 시냅스전 뉴론으로 GABA 섭취 차단 → 수용체 결합에 더 많은 GABA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 → 억제작용 항진
  • 전달체 동종형(GAT-2나 GAT-3)보다는 오히려 수송체 동종형(GAT-1)을 우선적으로 억제 / GAT-1이 우선적으로 발현되는 전뇌(forebrain)와 해마에서 세포외 GABA 농도 증가 → 시냅스에서 유리된 GABA의 억제작용 연장
    (cf. 가장 유의한 효과는 강직성 억제의 강화일 수도 있다.)

약동학
  • 생체이용률: 90-100% 
  • albumin 및 α1-acid glycoprotein과의 결합율은 95% 이상
  • 음식물은 최고 혈장농도를 감소시키나 혈중농도곡선하면적(AUC)은 감소시키지 않는다. 
  • 반감기: 5~8시간 
  • 대사: 간에서 CYP3A에 의하여 산화된다. 
  • 배설: 대변(60-65%), 요(25%)

치료용도
  • 부분발작
  • 16~56 mg/d 범위의 용량에서 효과적
  • 1일 4회까지 분할 투약도 때때로 필요하다.

부작용
  • 신경과민, 어지럼, 떨림, 집중장애, 우울증 등

 

 

Vigabatrin 

개요
  • GABA aminotrans­ferase에 대한 “자살억제제(suicide inhibitor)”
  • 구조적으로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유사체

기전
  • GABA 를 분해하는  효소인  GABA aminotrans­ferase (GABA-T )의  비가역적 억제제
  • GABA transminase와 선택적, 비가역적으로 결합 → GABA의 succinic semialdehyde로의 전환 차단 → 세포 내 GABA 농도↑ → 연접에서의 GABA 유리↑
이미지GABA-T, GABA transaminase; SSADH, succi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 GAD, glutamic acid decarboxylase

치료용도

<효능/효과 >

  • 다른 뇌전증 치료제로 충분히 조절되지 않은 뇌전증
  • 비가역적인 시야 결손의 가능성 때문에 주로 유아 경련(infantile spasms)의 치료에 국한되어 사용된다.

부작용
  • 졸음, 혼동, 두통 등
  • 말초 망막신경 섬유의 비가역적 광범위 위축과 관련된 양측성 시야결손(망막신경 내 약물 축적에 기인)

 


levetiracetam

개요
  • piracetam 유사체
  • 부분발작들에 유효한 특수한 전임상 이력을 가진 첫 번째 주요 약물

기전
  •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세포외 배줄에 관여하는 시냅스소포(synaptic vesicle)에 위치하는 SV2A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결합 → 소포 기능 작용하여 glutamate와  GABA의 시냅스 유리 변경 → N-형 칼슘통로 억제, 세포 내에 저장되어 있던 칼슘 유리억제

약동학
  • 경구로 잘 흡수, 콩팥으로 배설, 대부분의 약물(60%)이 변환되지 않은 태로 배설
  • CYP나 UGT 대사계와 상호작용이 없음
  • 경구투여 시 거의 완전히 흡수된다[신속한 흡수, 음식물에 의한 영향(-)].
    →  1.3시간 이내에 최고 혈장농도 도달
  • 단백결합 10% 이하
  • 혈장 반감기 6~8시간
  • 대사/배설:  2/3는 변화 없이 소변 배설
    • 적혈구를 비롯한 다양한 신체조직에서 카르복실산 대사물(carboxylic acidic metabolite)로 대사
    •  활성대사체(-): 대사물질은 약효는 없으며 약물과 대사물질 모두 신장을 통하여 배설된다. 
  • 약물 상호작용
    • cyto­chrome P450에 의하여 대사되지 않는다. 
    • 항뇌전증제, warfarin, digoxin, 경구피임제 등과 약물 상호작용이 없다.

치료용도
  • 부분발작, 근간대성 발작, 원발성 전신 강직-간대성 발작
  • 성인과 소아에서 부분발작의 보조치료, 원발성 전신강직성-간대성 발작과 청소년근간성 뇌전증에서 근간대성발작의 보조치료를 위해 시판되고 있다.  

부분뇌전증과 전신뇌전증에 모두 사용이 가능한 광범위 항뇌전증 약이며 근간대경련에 효과가 좋다.


용법
  • 성인 - 개시용량 500 mg 또는 1,000 mg/d → 2-4주마다 1,000 mg씩 증량 → 최대 3,000 mg/d 
  • 1일 2회 복용
  • 경구형:  서방정
  • 정맥 내 제제도 유효

부작용
  • 졸림, 무력증, 운동실조, 어지럼
  • 신경정신증상(rare): 심한 감정기복, 정신병 유사증상

 

 

topiramate

개요
  • 설파제제
  • 다양한 약리학적 기전을 가진 광범위 항뇌전증 약물

기전
  • 여러 작용기전(최소한  5가지의  독립적인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발작 형태에도 광범위한 효과를 나타낸다.
    1. 세포 내에서 kainite 유발 전위를 억제
    2. GABA 활성을 증강: GABAA 수용체에 결합 → 염소통로 개방빈도 증가
    3. 전압의존성 나트륨통로(voltage activated sodium channel)를 차단 
    4. voltage-activated calcium channel을 억제
    5. 탄산탈수소효소(carbonic anhydrase isoenzyme)을 억제

약동학
  • 고농도로 신장으로 배설, 불활성 대사물
  • CYP2C19 억제
  • Ethinyl estradiol 동시투여 시 ethinyl estradiol을 감소시킨다.
  • 피임조절제에 대한 상담 필요

치료용도
  • 발작조절: 부분발작, 원발성 전신 발작
  • 편두통 예방치료
  • 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
  • 양극성 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비만치료: 식욕억제, 체중감소
  • 혈당강하작용: 인슐린 감수성 증가, 포도당 자극에 의한 인슐린 분비능 향상

부작용
  • 중추신경계: 인지장애(정신서행, 주의력 결핍, 언어문제, 기억력 저하)
  • 체중감소
  • 녹내장
  • 대사성 산증, 신결석

 

 

Retigabine (Ezogabine)

개요
  • 발작의 발생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새로운 분자기질에 표적하기 위해 고안된 항뇌전증제

기전
  •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s군의 하나인 Kv7 channel family(Kv7.2-Kv7.5, 해당 유전자 KCNQ2-KCNQ5)에 작용 → M-type potassium current 발생 → 신경의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s 개통유도

Cf. M current

  • 낮은 역치의 불활성화되지 않는 voltage-dependent neuronal potassium current 
  • 흥분성 자극이 신경 세포를 spike 역치 쪽으로 탈분극시킬 때 M current는 천천히 불활성화되어 세포막을 안정 전위로 재분극시켜 반복적인 발포 억제
  • pore 지역 내에 결합해 channel을 개통 형태로 안정화시킨다.
  • GABA의 뇌 농도↑, GABAA 수용체에 대한 조절작용 → GABA-induced currents ↑

약동학
흡수/분포
  • 흡수: 빠른 속도로 흡수. 높은 지방 음식과 함께 섭취 시 최고 혈중 농도 지연 가능(최대 2시간)
  • bioavailability: 60% 정도
  • 60-90분 내에 최고 혈중 농도 도달
  • 80%까지 단백질과 결합
  • 1,200 mg/day까지 선형의 약물동력학을 보인다.

대사
  • 배설 반감기: 8-11시간
  • 간대사:  CYP system을 거치지 않는다.
    • N-acetylation, N-glucuronidation → N-acetyl derivative, N-glucuronides 형성(미미한 약리 작용)

대사에서 CYP system은 거치지 않으나 CYP2A6 iso-form을 억제하는 약간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배설
  • Retigabine, 대부분의 대사 물질(84%)은 신장으로 배설
  • 심한 신부전증, 심한 간부전증, 노인에 있어 retigabine의 정리는 감소된다.

약물 상호작용
  • 항뇌전증제와의 상호작용
    • 대부분의 항뇌전증제와는 상호작용 없음
    • retigabine의 용량에서 phenytoin과 carbamazepine은 retigabine의 정리를 30%까지 증가시킨다. 
    • Lamotrigine과의 상호작용 가능(주요 대사 과정이 glucuronidation이기 때문)
    • Retigabine: Lamotrigine의 정리를 22%까지 증가시킨다.
    • lamotrigine: retigabine의 정리를 13%까지 감소시킨다.
  • ethinylestradiol, norgestrel: 대사나 약물동력학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치료용도
  • 부분뇌전증 환자의 부가 약물: 미국(승인),  유럽(승인), 우리나라(비승인)

용량/용법
  • 하루에 3번 분복(∵상대적으로 짧은 반감기)
  • 중증 신부전/간부전: 용량 감소 필요

부작용
  • 가장 흔한 이상 반응: 졸림, 혼동, 어지러움, 진전, 기억상실, 사고 이상, 현훈, 언어 장애, 무기력 등
  • 특이한 이상 반응: 소변 주저(urinary hesitancy), 배뇨곤란, 뇨변색(discoloration)

Kv7 channel이 존재한다고 알려진 방광에 대한 작용 때문으로 추측된다.

 


Gabapentin과 pregabalin은 뒤에 따로 언급하였다.                                                                                                                                                                                                                                                    


참고자료

[개요]

  • 대한뇌전증학회. 뇌전증의 약물치료지침. 2015
  • Heo K. New antiepileptic drug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55(2):155.
  • Stafstrom CE. Mechanisms of action of antiepileptic drugs: the search for synergy. Curr Opin Neurol 2010;23(2):157–63.

 

[주요 항뇌전증제: 1세대]

  • Richard A.Harvey(임동윤 역).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2012.
  • Heo K. New antiepileptic drug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55(2):155.
  • Tomson T, Tybring G, Bertilsson L. Single-dose kinetics and metabolism of carbamazepine-10,11-epoxide. Clin Pharmacol Ther 1983;33(1):58–65.
  • Rambeck B, Sälke-Treumann A, May T, Boenigk HE. Valproic acid-induced carbamazepine-10,11-epoxide toxic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ur Neurol 1990;30(2):79–83.
  • Lee KH, Song JH, Cha SH, Chung SJ. The age and dose-related hyponatremia during carbamazepine and oxcarbazepine therapy in epileptic childr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4):409.
  • Kim S-J, Koh JA, Lee HC, et al. Severe Resistant Hypertension Induced by Carbamazepine in an Elderly Patient.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13;17(2):99.
  • We JH, Kim YM, Nam SO. Changes in platelet counts caused by valproate in children with epileps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9;52(1):75.
  • Isojärvi JI, Laatikainen TJ, Knip M, Pakarinen AJ, Juntunen KT, Myllylä VV. Obesity and endocrine disorders in women taking valproate for epilepsy. Ann Neurol 1996;39(5):579–84.
  • Cheung H, Kamp D, Harris E. An in vitro investigation of the action of lamotrigine on neuronal voltage-activated sodium channels. Epilepsy Res 1992;13(2):107–12.
  • McGeer EG, Zhu SG. Lamotrigine protects against kainate but not ibotenate lesions in rat striatum. Neurosci Lett 1990;112(2-3):348–51.
  • Rambeck B, Wolf P. Lamotrigine clinical pharmacokinetics. Clin Pharmacokinet 1993;25(6):433–43.
  • Han JH, Oh JE, Kim SJ.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lamotrigine monotherapy in newly diagnosed pediatric patients with epileps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10;53(4):565.
  • Ziemann U. Pharmacology of TMS. Suppl Clin Neurophysiol 2003;56:226–31.
  • Bourgeois BF.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topiramate. J Child Neurol 2000;15 Suppl 1:S27–30.
  • Richard D, Ferland J, Lalonde J, Samson P, Deshaies Y. Influence of topiramate in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Nutrition 2000;16(10):961–6.
  • Liang Y, Chen X, Osborne M, DeCarlo SO, Jetton TL, Demarest K. Topiramate ameliorates hyperglycaemia and improves glucose-stimulated insulin release in ZDF rats and db/db mice. Diabetes Obes Metab 2005;7(4):360–9.
  • Tatum WO, French JA, Faught E, et al. Postmarketing experience with topiramate and cognition. Epilepsia 2001;42(9):1134–40.
  • Kim SW, Seo SG, Her J, Ahn KS, Choi BJ. Two Cases of Topiramate-induced Acute Myopia.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8;49(6):1033.


[주요 항뇌전증제: 2세대, 3세대 항뇌전증제]

<oxcarbazepine>

  • Lee KH, Song JH, Cha SH, Chung SJ. The age and dose-related hyponatremia during carbamazepine and oxcarbazepine therapy in epileptic childr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4):409.
  • Richard A.Harvey(임동윤 역).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2012.
  • 대한신경과학회. 신경학 3판(2017). 15장


<Eslicarbazepine acetate>

  • Hainzl, D., Parada, A. and Soares-Da-Silva, P. Metabolism of two new antiepileptic drugs and their principal metabolites S(+)- and R(-)-10,11-dihydro10-hydroxy carbamazepine. Epilepsy Res 2011;44: 197–206.
  • Rocamora R. A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eslicarbazepine acetate in the management of partial-onset seizures. Ther Adv Neurol Disord 2015;8(4):178–86.
  • Zaccara G, Giovannelli F, Cincotta M, Carelli A, Verrotti A. Clinical utility of eslicarbazepine: current evidence. Drug Des Devel Ther 2015;9:781–9.
  • Soares-da-Silva P, Pires N, Bonifácio MJ, Loureiro AI, Palma N, Wright LC. Eslicarbazepine acetate for the treatment of focal epilepsy: an update on its proposed mechanisms of action. Pharmacol Res Perspect 2015;3(2):e00124.
  • Chang X-C, Yuan H, Wang Y, Xu H-Q, Hong W-K, Zheng R-Y. Eslicarbazepine acetate add-on for drug-resistant partial epileps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10:CD008907.


<Lamotrigine>

  • Cheung H, Kamp D, Harris E. An in vitro investigation of the action of lamotrigine on neuronal voltage-activated sodium channels. Epilepsy Res 1992;13(2):107–12.
  • McGeer EG, Zhu SG. Lamotrigine protects against kainate but not ibotenate lesions in rat striatum. Neurosci Lett 1990;112(2-3):348–51.
  • Rambeck B, Wolf P. Lamotrigine clinical pharmacokinetics. Clin Pharmacokinet 1993;25(6):433–43.
  • Han JH et al.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lamotrigine monotherapy in newly diagnosed pediatric patients with epilepsy. Korean J Pediatr 2010;53:565-569


<zonisamide>

  • Lee JY et al. A Case of Zonisamide-Induced Stevens-Johnson Syndrome. Korean J Med 2015;89:368-371
  • Kim KJ et al. The effect of zonisamide in children with refractory epilepsies.Korean J Pediatr. 1993;36(8):1139-1145


<Lacosamide>

  • Baek JH et al. Lacosamide-associated Valproic Acid Toxicity

Following Febrile Illness. Journal of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2016;24(2):63–6.

  • Kim G-H, Byeon JH, Eun B-L. Neuroprotective Effect of Lacosamide on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in Neonatal Rats.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2017;13(2):138–43.


<Rufinamide>

  • Ahn HJ et al. Rufinamide in Patients with Childhood Onset Intractable Epilepsy. J Korean Child Neurol Soc 2017;25(2):75-81
  • Min SY et al.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of Rufinamide in Korean Children with Lennox-Gastaut Syndrome. J Korean Child Neurol Soc 2017;25(2):89-92


<tiagabine>

  • 한국약학교육협의회 약물학분과회. 약물학 3판(2015). p459-460
  • Pulman J, Hutton JL, Marson AG. Tiagabine add-on for drug-resistant partial epileps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2):CD001908.
  • Vossler DG, Morris GL, Harden CL, et al. Tiagabine in clinical practice: effects on seizure control and behavior. Epilepsy Behav 2013;28(2):211–6.
  • Stahl SM. Anticonvulsants as anxiolytics, part 1: tiagabine and other anticonvulsants with actions on GABA. J Clin Psychiatry 2004;65(3):291–2.

 

<Vigabatrin>

  • Cinoo Kim MD. Visual Field Change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Treated with Vigabatrin.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7;48(4):547–54.
  • Chung SJ et al.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gabatrin and Visual Field Defect in Children. J Korean Pediatr Soc 2002;45:1546-1550

 

<levetiracetam>

  • Kim YR et al. Successful Treatment of Intractable Hiccup with Levetiracetam. Journal of Korean Epilepsy Society 16(1):30-32, 2012
  • Nam W, Kwon O-Y, Kim D-H, et al. Seizure Induction by Artemisia Annua in an Epilepsy Patient Taking Levetiracetam. J Korean Neurol Assoc 2015;33(1):44–7.
  • Heo K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Levetiracetam as Adjunctive Treatment in a Multicenter Open-Label Single-Arm Trial in Korean Patients with Refractory Partial Epilepsy: Over 1-Year Follow-Up. Korean Epilep Soc 2007;11(1):25-32

 

<topiramate>

  •  Kim SW, Seo SG, Her J, Ahn KS, Choi BJ. Two Cases of Topiramate-induced Acute Myopia.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8;49(6):1033.
  • Koo DL et al. Therapeutic Drug Monitoring of Topiramate in Status Epilepticus. Journal of Korean Epilepsy Society 17(1):1-7, 2013
  • Kim BY et al. Treatment of Benign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Effectiveness of Low-dose Topiramate at night therapy in Benign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J Korean Child Neurol Soc 2014;22(4):195-201
  • Lee SA et al. The Effect of Topiramate on Cognition. J Korean Epilep Soc 2008;12(Supplement 1):61-66

 

<Retigabine (Ezogabine)>

  • Heo K. New antiepileptic drug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55(2):155.
  •  Splinter MY. Ezogabine (retigabine) and its role in the treatment of partial-onset seizures: a review. Clin Ther 2012;34(9):1845-1856.e1.
  • Rheims S, Ryvlin P. Retigabine for partial onset seizures. Expert Rev Neurother 2012;12(5):509–17.
  • Deeks ED. Retigabine (ezogabine): in partial-onset seizures in adults with epilepsy. CNS Drugs 2011;25(10):887–900.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