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제(Antispasmodics)란?
- 경련 통증의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약제
- 위장관, 담도질환, 비뇨기 질환, 월경통 등의 상황에서 투여되는 약제
진경제의 분류
- 기전에 따라서 다음의 4가지로 분류
항콜린/항무스카린 약제
칼슘통로차단제
평활근 이완제
기타기전
|
항콜린/항무스카린 약제
- Difemerine
- Scopolamine(hyoscine)
- Atropine: 진경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cimetropium: 국내 시판제제 없음
- trospium: 위장관(GI tract)보다는 주로 과민성방광(overactive bladder)의 치료에 사용됨
- Dicyclomine: 진경제로 잘 사용되지는 않음
- hyoscyamine: 국내 시판제제 없음
평활근 이완제
- Papaverine: 관상, 말초, 뇌 그리고 폐동맥을 포함한 넓은 혈관들의 평활근 근육조직들을 이완시킴
- Mebeverine: 근친화성(musculotropic) 진경제로 GI tract의 평활근에 선택적이며 papaverine과 비교 시 3-5배 강력
칼슘통로차단제
alverine citrate
기전
- 칼슘 흡수 억제 / 평활근 활동 조절
- 장관의 자율수축 기간 억제 / 국소허혈 방지 / 경련에 의해 유발된 대장벽 내 반사통 예방
- HT1A 수용체에 대한 선택적 억제작용 → 장관 과민성↓
특징
- Alverine citrate/simethicone 복합제
- 스트레스로 인한 대장운동의 변화가 과민성 장증후군의 중요한 병태생리인데, alverine과 simethicone이 스트레스 유발 대장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대장 팽창에 대한 과민성을 줄여줌
- 각각의 저용량의 약제는 스트레스 유발 과민성 장증후군에 효과가 없지만, 저용량의 두 가지 약제 조합은 상승작용이 있어서 스트레스에 의한 과민성을 상쇄시킴
- 복부의 가스 증상과 복통을 동반한 과민대장증후군에서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
부작용
- 구역감, 어지러움, 두통, 알레르기 반응 등. 드물게 간기능 이상 발생 가능
Pinaverium bromide
기전
- in vitro와 in vivo 자료 모두에서 pinaverium의 항경련작용은 장의 평활근에 선택적인 칼슘채널억제활성(전위작동채널의 차단을 통해 유입의 억제)과 관련 (Diltiazem과 같은 L형 칼슘통로 차단제와 작용기전이 아주 유사: 느린 파동의 편평기 단계를 감소시켜서 칼슘 유입을 억제하고 뒤따르는 수축 예방)
특징
- 사차 암모니아 화합물로 거의 흡수가 되지 않고 심혈관 작용보다는 위장관에서의 약리작용이 두드러짐
- 위장관에서 거의 흡수가 되지 않지만 간담즙 분비로 배설됨
- 장관세포 내로의 Cation 과잉유입을 차단하여 긴장된 장관의 기능을 정상화시킴. 항콜린성 작용이 없이 대장기능 조절
임상적용
- 과민대장증후군의 두 가지 주된 양상인 운동 장애와 장관 과민성을 치료하는 데 효능을 보임
- 복통의 호전 외에도 배변 형태, 배변 시 힘주기, 배변 긴박감 등을 호전시키는 효과 존재
- Otilonium과 유사하게 흡수가 적으므로 고령이나 동반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 가능
부작용
- 입 마름, 어지럼증, 시력장애 등. 심각한 부작용은 없음
- 주의: 변비를 유발할 수 있어 IBS-C 환자에게는 가능하면 투여를 피할 것
비고
- 임산부에게는 사용 허가가 내려져 있지 않아서 가임기 여성에 사용 시 주의를 요함
Otilonium bromide
개요
- 사차 암모니아 화합물
기전
- 주로 L형 칼슘통로 차단
- 무스카린 수용체(M1, M2, M4, M5)와도 결합
- tachykinin NK-2 수용체의 길항작용(+): 말초신경에서 중추신경으로 통증이 전달되는 것도 감소시킴
- 과민대장증후군의 주된 증상인 경련과 복통 모두를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음
- 직장항문 또는 구불결장 팽창 시 통증 역치를 증가시키고 팽창된 구불결장의 운동성을 감소시킴
특징
- 장 내에서 흡수가 잘 되지 않는 진경제(경구투여 시 위장관 벽에 축적되고 전신 흡수는 거의 없음). 대부분 대변으로 배설됨
임상적용
- 흡수가 적고 국소효과가 지속적인 특성이 있어서 고령이거나 동반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다른 약제보다 우선 선택할 것을 권고함
부작용
- 항무스카린 효과로 인한 입마름, 구역감, 어지러움 등
- 금기: 녹내장
기타 기전
말초아편길항제: Trimebutine maleate
개요
- 말초활성 enkephalin 유사체
기전
- 위장관의 내부신경총[myenteric (Auerbach) 및 submucous (Meissner) 신경총]에 존재하는 내인성 운동조절 인자인 enkephlin 수용체 (μ,δ,κ)에 작용 → 항진 또는 억제된 위장관운동을 정상화시킴
- 대장과 소장 모두 작용
- 대장에서의 이중조절작용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대장운동 억제 | + | 비정상적으로 억제된 대장운동 항진 |
억제뉴런의 엔케팔린성 kappa 수용체에 결합 |
| 비콜린성 활성뉴런의 mu와 delta 수용체에 결합 |
특징
- 설사형 과민대장증후군 뿐만 아니라 변비형에서도 효과적 → 복합형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에게 우선 권고되는 약물
- 소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
- 복합제로도 많이 이용됨
부작용
- 설사, 변비, 구역, 입마름, 소화불량 등. 드물게 심계항진, 피로감, 두통, 어지러움과 간기능 장애 발생 가능
Tiropramide
기전
- muscarinic, nicotinic or histamine receptor에 작용하지 않고 평활근 세포에 직접적, 특이하게 작용하는 광범위 항경련제
- 세포 내의 cAMP를 증가시켜 Ca을 간접적으로 조절: Phosphodiesterase 억제 → cAMP synthetase 활성화에 따른 cAMP 증가 → 소포 내로 칼슘을 흡수하여 평활근 세포 내 칼슘 농도↓ + 칼슘의 세포 내 유입 억제
특징
- 과도하게 긴장된 평활근 조직에 가장 효과적이며 심혈관 평활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임상적용
- 설사형 과민대장증후군 환자군을 대상으로 아형 분석 결과 otilonium보다 빠르게 증상호전 효과를 보여서 다른 질환이 동반되지 않은 젊은 환자에게 권고됨
부작용
- 입마름, 구역감, 변비 등. 드물게 알레르기 증상
주의
- 금기: 위장관 협착, 거대결장, 중증의 간부전 환자
- 녹내장 및 전립선비대 환자에게는 사용에 주의를 요함
phloroglucinol
개요
- Phloroglucinol과 메틸화된 형태인 trimethylphloroglucinol은 비특이 진경작용을 가진 페놀 유도체
기전
- 주된 기전: 평활근 내 전압개폐 칼슘통로의 억제에 의한 평활근 이완. 이완작용은 매우 선택적이며, 장과 혈관상보다 요관과 담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기타 기전: 프로스타글란딘이나 아산화질소의 분비 조절에 의한 기전
- in vitro 와 in vivo 시험 모두에서 phloroglucinol은 매우 약한 항콜린 성질을 가짐
특징
- 위장관경련보다는 주로 요로질환에 사용
- 작용효과가 빨라서 통증의 급성악화 시에 사용하기에 적합
- 소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
부작용
- 입마름, 구역감 등.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 기분 변화, 복시 등
진경제 관련 심평의학
급여기준
- 진경제의 개별 급여기준
- 약제별로 별도의 급여기준 없음
- 진경제의 공통 급여기준
효능ㆍ효과 에 대한 전산심사 중
→ 약제 허가사항에 따른 상병명 기록 철저
용량ㆍ투여기간에 대한 전산심사는 적용되지 않음
→ 각 약제별 허가사항에 따른 처방을 준수하여 처방하는 것이 원칙
진경제 허가사항
진경제 허가사항
진경제별 효능∙효과
| 성분 | 상품명 | 효능/효과 |
항콜린제 | Scopolamine | 부스코판 | 다음 질환에 있어서의 경련 및 운동기능 항진:
|
Cimetropium | 알피움 | 위장관계의 경련 및 기능적 운동장애 | |
Dicyclomine(dicycloverine) | 이지정(일반) | 다음 질환에서 경련 완화: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대장염, 게실(곁주머니)염, 경련성 변비 | |
칼슘통로차단제 | Pinaverium | 디세텔 |
|
Octilonium | 메녹틸 | 위장관 경련 및 과민성 대장증후군 | |
Alverine 복합제 | 가베스판 |
| |
Fenoverine | 펙사딘 | 과민성대장염, 월경통 | |
평활근 이완제(Smooth muscle relaxants) | papaverine | 파파베린주 |
|
Mebeverine | 듀스파타린(일반) | 주효능 효과: 과민성대장증후군(복통,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식후 속이 답답한 증상) 및 위장관의 기질적 병변에 수반되는 2차적인 과민성대장증후군 | |
기타 | Trimebutine | 포리부틴 |
|
Tiropramide | 티로파 |
| |
Phloroglucinol | 후로스판 |
|
진경제별 허가사항
항진경제의 종류별로 허가사항이 위장관, 담도계, 부인과 계열, 신장계 등으로 다르므로 위의 허가사항에 맞춰서 처방함에 주의
분류 | 성분 | 상품명 | 허가사항 |
|
|
|
위장관 | 담도질환 | 비뇨기질환 | 월경통 | |||
항콜린제 | Scopolamine | 부스코판 | O | O | O | O |
Cimetropium | 알피움 | O |
|
|
| |
Dicyclomine(dicycloverine) | 이지정(일반) | O |
|
|
| |
칼슘통로차단제 | Pinaverium | 디세텔 | O | O |
|
|
Octilonium | 메녹틸 | O |
|
|
| |
Alverine 복합제 | 가베스판 | O |
|
|
| |
Fenoverine | 펙사딘 | O |
|
| O | |
평활근 이완제(Smooth muscle relaxants) | papaverine | 파파베린주 | O | O |
|
|
Mebeverine | 듀스파타린(일반) | O |
|
|
| |
기타 | Trimebutine | 포리부틴 | O |
|
|
|
Tiropramide | 티로파 | O | O | O |
| |
Phloroglucinol | 후로스판 | O | O | O | O |
진경제의 중복처방
- 별도의 급여기준 없음
다른 계열간 중복 처방
- 항콜린제 계열, 칼슘통로차단제 계열, 평활근이완제 계열, 기타 계열 간의 병용은 학문적으로도 Synergism이 있으므로 병용처방에 문제는 없음
- 평활근이완제 중에서는 쓸만한 약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3가지 계열에서 각각의 약 선택 가능
항콜린제 | 칼슘통로차단제 | 평활근 이완제 | 기타 |
Cimetropium(알피움) A03BB05(124) or Scopolamine(부스코판) A03BB01(124)
| Pinaverium(디세텔) A03AX04(239) or Octilonium(메녹틸) A03AB06(123) | 처방할만 경구 약제 없음 | Trimebutine(포리부틴) A03AA05(239) or Tiropramide(티로파) A03AC05(124) or Phloroglucinol(후로스판) A03AX12(124) |
다른 계열끼리 조합해서 2제, 3제 조합을 만들어 볼 수 있다.
현 심평의학으로는 삭감은 없다는 이야기이며 당연히 의학적으로 위의 조합이 필요한지는 별개의 이야기임
같은 계열 내의 중복처방
- 같은 항콜린제 계열이나 같은 칼슘통로차단제 계열내의 중복 처방은 동일 효능 품목의 이중처방으로 여겨질 수 있음
→ 그러나 계열의 구분이 불명확한 면이 있어서 정확하게 그 계열을 나누기 어려운 약들도 있고, 동일계열의 중복처방이라도 동일 약품이 아니므로 약효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아직까지 심평원의 점검 항목 등에 위의 사항이 없어서 처방에 문제가 되고 있지는 않음.
→ 동일 계열내의 중복처방이라도 복지부 분류번호나 ATC 코드 등이 다른 약들을 처방한다면 의학적으로도 성분이 서로 다른 약을 처방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임.
이렇게 처방하는 것이 의학적으로 필요할 지는 모르지만, 동시처방은 가능하다.
예시: 칼슘통로차단제끼리의 조합
Octilonium(메녹틸) | + | Pinaverium(디세텔) |
A03AB06(123) |
| A03AX04(239) |
예시: 항콜린제끼리의 조합:
Cimetropium(알피움) | + | Scopolamine(부스코판) |
A03BB05(124) |
| A03BB01(124) |
ATC 코드가 같다는 점이 좀 걸리긴 한다.
예시: 기타 제제끼리지의 조합
Trimebutine(포리부틴) | ± | Tiropramide(티로파) | ± | Phloroglucinol(후로스판) |
A03AA05(239) |
| A03AC05(124) |
| A03AX12(124) |
정리! 다른 계열끼리 조합하거나 혹은 같은 계열간끼리도 조합하여 4제 이상 처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처방하는 것이 의학적으로 필요할 지는 모르지만, 동시처방은 가능하다. |
진경제 중복처방시 삭감 사례
위에서 언급한 작용기전별 병용처방 가능 조합과는 별도로 분류번호 239(기타의 소화기관용약)에 해당되는 약제중에서 Pinaverium(디세텔)과 Alverine 복합제(가베스판)의 약제가 동시에 처방되면 가베스판이 삭감되고 있음에 주의 -→ 2가지약제가 239로 분류번호가 같고, ATC 코드가 같기 때문에 삭감됨
예) Trimebutine(포리부틴) + Pinaverium(디세텔) + Alverine 복합제(가베스판) 병용 투여시 가베스판 삭감함
A03AA05(239) + A03AX04(239) + A03AX58(239)
예) 모티리톤 + Pinaverium(디세텔) + Alverine 복합제(가베스판) 병용 투여시 가베스판 삭감함
A16AX(239) + A03AX04 (239) +A03AX58 (239)
참고자료
- Lee SH, Jee SR. Effect of antispasmod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8;61(7):428.
- Song KH, Jung HK, Kim HJ, Koo HS, Kwon YH, Shin HD, Lim HC, Shin JE, Kim SE, Cho DH, Kim JH, Kim HJ;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Group Under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 2017 Revised Editio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8;24:197-215.
- Annahazi A, Roka R, Rosztoczy A, Wittmann T. Role of anti-spasmodics in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World J Gastroenterol 2014;20:6031-6043.
- 닥터김의 건강보험 청진기(https://blog.naver.com/39954/222032477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