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제(Antispasmodics)


목차

진경제(Antispasmodics)란?

  • 경련 통증의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약제
  • 위장관, 담도질환, 비뇨기 질환, 월경통 등의 상황에서 투여되는 약제

 

 

 

진경제의 분류

  • 기전에 따라서 다음의 4가지로 분류

항콜린/항무스카린 약제

  • Scopolamine(hyoscine) butylbromide, Cimetropium bromide, Dicyclomine(dicycloverine) HCl

칼슘통로차단제

  • pinaverium bromide, otilonium bromide, alverine citrate(+simethicone), caroverine HCl, fenoverine

평활근 이완제

  • papaverine, mebeverine, peppermint oil

기타기전

  • trimebutine, phloroglucinol, tiropramide

 

 

 

항콜린/항무스카린 약제

  • Difemerine
  • Scopolamine(hyoscine)
  • Atropine: 진경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cimetropium: 국내 시판제제 없음 
  • trospium: 위장관(GI tract)보다는 주로 과민성방광(overactive bladder)의 치료에 사용됨 
  • Dicyclomine: 진경제로 잘 사용되지는 않음
  • hyoscyamine: 국내 시판제제 없음

 

 

 

평활근 이완제

  • Papaverine: 관상, 말초, 뇌 그리고 폐동맥을 포함한 넓은 혈관들의 평활근 근육조직들을 이완시킴
  • Mebeverine: 근친화성(musculotropic) 진경제로 GI tract의 평활근에 선택적이며 papaverine과 비교 시 3-5배 강력 

 

 

 

칼슘통로차단제

alverine citrate

기전

  1. 칼슘 흡수 억제 / 평활근 활동 조절
  2. 장관의 자율수축 기간 억제 / 국소허혈 방지 / 경련에 의해 유발된 대장벽 내 반사통 예방
  3. HT1A 수용체에 대한 선택적 억제작용 → 장관 과민성↓

 

특징

  • Alverine citrate/simethicone 복합제
    • 스트레스로 인한 대장운동의 변화가 과민성 장증후군의 중요한 병태생리인데, alverine과 simethicone이 스트레스 유발 대장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대장 팽창에 대한 과민성을 줄여줌
    • 각각의 저용량의 약제는 스트레스 유발 과민성 장증후군에 효과가 없지만, 저용량의 두 가지 약제 조합은 상승작용이 있어서 스트레스에 의한 과민성을 상쇄시킴 
    • 복부의 가스 증상과 복통을 동반한 과민대장증후군에서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

 

부작용

  • 구역감, 어지러움, 두통, 알레르기 반응 등. 드물게 간기능 이상 발생 가능

 


Pinaverium bromide

기전

  • in vitro와 in vivo 자료 모두에서 pinaverium의 항경련작용은 장의 평활근에 선택적인 칼슘채널억제활성(전위작동채널의 차단을 통해 유입의 억제)과 관련 (Diltiazem과 같은 L형 칼슘통로 차단제와 작용기전이 아주 유사: 느린 파동의 편평기 단계를 감소시켜서 칼슘 유입을 억제하고 뒤따르는 수축 예방)

 

특징

  • 사차 암모니아 화합물로 거의 흡수가 되지 않고 심혈관 작용보다는 위장관에서의 약리작용이 두드러짐
  • 위장관에서 거의 흡수가 되지 않지만 간담즙 분비로 배설됨
  • 장관세포 내로의 Cation 과잉유입을 차단하여 긴장된 장관의 기능을 정상화시킴. 항콜린성 작용이 없이 대장기능 조절 

 

임상적용

  • 과민대장증후군의 두 가지 주된 양상인 운동 장애와 장관 과민성을 치료하는 데 효능을 보임
  • 복통의 호전 외에도 배변 형태, 배변 시 힘주기, 배변 긴박감 등을 호전시키는 효과 존재
  • Otilonium과 유사하게 흡수가 적으므로 고령이나 동반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 가능

 

부작용

  • 입 마름, 어지럼증, 시력장애 등. 심각한 부작용은 없음
  • 주의: 변비를 유발할 수 있어 IBS-C 환자에게는 가능하면 투여를 피할 것


비고

  • 임산부에게는 사용 허가가 내려져 있지 않아서 가임기 여성에 사용 시 주의를 요함

 


Otilonium bromide

개요

  • 사차 암모니아 화합물

 

기전

  • 주로 L형 칼슘통로 차단
  • 무스카린 수용체(M1, M2, M4, M5)와도 결합
  • tachykinin NK-2 수용체의 길항작용(+): 말초신경에서 중추신경으로 통증이 전달되는 것도 감소시킴
    1. 과민대장증후군의 주된 증상인 경련과 복통 모두를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음
    2. 직장항문 또는 구불결장 팽창 시 통증 역치를 증가시키고 팽창된 구불결장의 운동성을 감소시킴

 

특징

  • 장 내에서 흡수가 잘 되지 않는 진경제(경구투여 시 위장관 벽에 축적되고 전신 흡수는 거의 없음). 대부분 대변으로 배설됨

 

임상적용

  • 흡수가 적고 국소효과가 지속적인 특성이 있어서 고령이거나 동반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다른 약제보다 우선 선택할 것을 권고함

 

부작용

  • 항무스카린 효과로 인한 입마름, 구역감, 어지러움 등
  • 금기: 녹내장

 

 

 

기타 기전

말초아편길항제: Trimebutine maleate

개요

  • 말초활성 enkephalin 유사체

 

기전

  • 위장관의 내부신경총[myenteric (Auerbach) 및 submucous (Meissner) 신경총]에 존재하는 내인성 운동조절 인자인 enkephlin 수용체 (μ,δ,κ)에 작용 → 항진 또는 억제된 위장관운동을 정상화시킴
  • 대장과 소장 모두 작용
  • 대장에서의 이중조절작용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대장운동 억제

 +

비정상적으로 억제된 대장운동 항진

억제뉴런의 엔케팔린성 kappa 수용체에 결합

 

비콜린성 활성뉴런의 mu와 delta 수용체에 결합

 

특징

  • 설사형 과민대장증후군 뿐만 아니라 변비형에서도 효과적 → 복합형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에게 우선 권고되는 약물
  • 소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
  • 복합제로도 많이 이용됨

 

부작용

  • 설사, 변비, 구역, 입마름, 소화불량 등. 드물게 심계항진, 피로감, 두통, 어지러움과 간기능 장애 발생 가능

 


Tiropramide

기전

  • muscarinic, nicotinic or histamine receptor에 작용하지 않고 평활근 세포에 직접적, 특이하게 작용하는 광범위 항경련제 
  • 세포 내의 cAMP를 증가시켜 Ca을 간접적으로 조절: Phosphodiesterase 억제 → cAMP synthetase 활성화에 따른 cAMP 증가 → 소포 내로 칼슘을 흡수하여 평활근 세포 내 칼슘 농도↓ + 칼슘의 세포 내 유입 억제 

 

특징

  • 과도하게 긴장된 평활근 조직에 가장 효과적이며 심혈관 평활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임상적용

  • 설사형 과민대장증후군 환자군을 대상으로 아형 분석 결과 otilonium보다 빠르게 증상호전 효과를 보여서 다른 질환이 동반되지 않은 젊은 환자에게 권고됨 

 

부작용

  • 입마름, 구역감, 변비 등. 드물게 알레르기 증상

 

주의

  • 금기: 위장관 협착, 거대결장, 중증의 간부전 환자
  • 녹내장 및 전립선비대 환자에게는 사용에 주의를 요함

 


phloroglucinol

개요

  • Phloroglucinol과 메틸화된 형태인 trimethylphloroglucinol은 비특이 진경작용을 가진 페놀 유도체

 

기전

  • 주된 기전: 평활근 내 전압개폐 칼슘통로의 억제에 의한 평활근 이완. 이완작용은 매우 선택적이며, 장과 혈관상보다 요관과 담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기타 기전: 프로스타글란딘이나 아산화질소의 분비 조절에 의한 기전
  • in vitro 와 in vivo 시험 모두에서 phloroglucinol은 매우 약한 항콜린 성질을 가짐

 

특징

  • 위장관경련보다는 주로 요로질환에 사용 
  • 작용효과가 빨라서 통증의 급성악화 시에 사용하기에 적합
  • 소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

 

부작용

  • 입마름, 구역감 등.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 기분 변화, 복시 등

 

 

 

진경제 관련 심평의학

급여기준

  1. 진경제의 개별 급여기준 
    • 약제별로 별도의 급여기준 없음
  2. 진경제의 공통 급여기준
    효능ㆍ효과 에 대한 전산심사 중
    → 약제 허가사항에 따른 상병명 기록 철저
    용량ㆍ투여기간에 대한 전산심사는 적용되지 않음
    → 각 약제별 허가사항에 따른 처방을 준수하여 처방하는 것이 원칙

 


진경제 허가사항

 


진경제 허가사항

진경제별 효능∙효과

 

성분

상품명

효능/효과

항콜린제

Scopolamine

부스코판

다음 질환에 있어서의 경련 및 운동기능 항진: 

  1. 위·십이지장궤양, 식도경련, 유문연축, 위염
  2. 장염, 장산통, 경련성 변비, 기능성 설사
  3. 담낭염, 담관염, 담석증, 담도이상운동증, 담낭절제후의 후유증
  4. 요로결석, 방광염
  5. 월경곤란

Cimetropium

알피움

위장관계의 경련 및 기능적 운동장애

Dicyclomine(dicycloverine) 

이지정(일반)

다음 질환에서 경련 완화: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대장염, 게실(곁주머니)염, 경련성 변비

칼슘통로차단제 

Pinaverium

디세텔

  1. 과민성대장증후군(복통, 복부팽만감, 복부경련, 변비, 설사, 변비와 설사의 반복, 구역, 구토)
  2. 담관운동부전

Octilonium

메녹틸

위장관 경련 및 과민성 대장증후군

Alverine 복합제

가베스판

  1. 위장관계 경련의 진경 및 장내 가스 제거
  2. 복부팽만으로 인한 소화기계 통증의 경감

Fenoverine

펙사딘

과민성대장염, 월경통

평활근 이완제(Smooth muscle relaxants)

papaverine

파파베린주

  1. 다음 질환에서의 내장평활근의 경련 : 위염, 담석증
  2. 말초순환장애, 급성 동맥색전, 급성 폐색전

Mebeverine

듀스파타린(일반)

주효능 효과: 과민성대장증후군(복통,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식후 속이 답답한 증상) 및 위장관의 기질적 병변에 수반되는 2차적인 과민성대장증후군

기타 

Trimebutine

포리부틴

  1. 식도역류 및 열공헤르니아, 위·십이지장염, 위·십이지장궤양에 있어서의 소화기능이상(복통, 소화불량, 구역, 구토)
  2. 과민성 대장증후군 및 경련성 결장
  3. 소아 질환: 습관성 구토, 비감염성 장관통과장애(변비, 설사), 동요자극, 수면장애

Tiropramide

티로파

  1. 다음 질환에서의 급성 경련성 동통: 간담도 산통, 여러 원인에 의한 복부 산통, 신장ㆍ요관의 산통
  2. 다음 질환에서의 복부 경련 및 동통: 위장관 이상운동증, 담석증, 담낭염, 수술 후 유착

Phloroglucinol

후로스판

  1. 비뇨기계의 경련 및 통증 : 신염성 산통
  2. 소화관 및 담도계의 기능장애에 의한 통증
  3. 부인과의 경련성 통증
  4. 임신중 수축의 보조치료

 

진경제별 허가사항

항진경제의 종류별로 허가사항이 위장관, 담도계, 부인과 계열, 신장계 등으로 다르므로 위의 허가사항에 맞춰서 처방함에 주의

분류

성분

상품명

허가사항

 

 

 

위장관

담도질환

비뇨기질환

월경통

항콜린제

Scopolamine

부스코판

O

O

O

O

Cimetropium

알피움

O

 

 

 

Dicyclomine(dicycloverine) 

이지정(일반)

O

 

 

 

칼슘통로차단제 

Pinaverium

디세텔

O

O

 

 

Octilonium

메녹틸

O

 

 

 

Alverine 복합제

가베스판

O

 

 

 

Fenoverine

펙사딘

O

 

 

O

평활근 이완제(Smooth muscle relaxants)

papaverine

파파베린주

O

O

 

 

Mebeverine

듀스파타린(일반)

O

 

 

 

기타

Trimebutine

포리부틴

O

 

 

 

Tiropramide

티로파

O

O

O

 

Phloroglucinol

후로스판

O

O

O

O

 

 

진경제의 중복처방

  • 별도의 급여기준 없음

 

다른 계열간 중복 처방

  • 항콜린제 계열, 칼슘통로차단제 계열, 평활근이완제 계열, 기타 계열 간의 병용은 학문적으로도 Synergism이 있으므로 병용처방에 문제는 없음
  • 평활근이완제 중에서는 쓸만한 약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3가지 계열에서 각각의 약 선택 가능

항콜린제

칼슘통로차단제

평활근 이완제

기타 

Cimetropium(알피움)

A03BB05(124) 

or 

Scopolamine(부스코판)

A03BB01(124)

 

 

 

Pinaverium(디세텔)

A03AX04(239) 

or

Octilonium(메녹틸) 

A03AB06(123)

처방할만 경구 약제 없음

Trimebutine(포리부틴)

A03AA05(239)

or

Tiropramide(티로파)

A03AC05(124) 

or 

Phloroglucinol(후로스판)

A03AX12(124)

 

다른 계열끼리 조합해서 2제, 3제 조합을 만들어 볼 수 있다. 

현 심평의학으로는 삭감은 없다는 이야기이며 당연히 의학적으로 위의 조합이 필요한지는 별개의 이야기임

 

같은 계열 내의 중복처방

  • 같은 항콜린제 계열이나 같은 칼슘통로차단제 계열내의 중복 처방은 동일 효능 품목의 이중처방으로 여겨질 수 있음
    → 그러나 계열의 구분이 불명확한 면이 있어서 정확하게 그 계열을 나누기 어려운 약들도 있고, 동일계열의 중복처방이라도 동일 약품이 아니므로 약효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아직까지 심평원의 점검 항목 등에 위의 사항이 없어서 처방에 문제가 되고 있지는 않음.
    → 동일 계열내의 중복처방이라도 복지부 분류번호나 ATC 코드 등이 다른 약들을 처방한다면 의학적으로도 성분이 서로 다른 약을 처방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임.

이렇게 처방하는 것이 의학적으로 필요할 지는 모르지만, 동시처방은 가능하다.

 

예시: 칼슘통로차단제끼리의 조합

Octilonium(메녹틸) 

+

 Pinaverium(디세텔)

A03AB06(123) 

 

A03AX04(239)

 

예시: 항콜린제끼리의 조합: 

Cimetropium(알피움) 

+

Scopolamine(부스코판)

A03BB05(124) 

 

A03BB01(124)

ATC 코드가 같다는 점이 좀 걸리긴 한다. 

 

예시: 기타 제제끼리지의 조합

Trimebutine(포리부틴) 

±

Tiropramide(티로파)

±

Phloroglucinol(후로스판)

A03AA05(239)

 

 A03AC05(124) 

 

A03AX12(124)

 

정리! 

다른 계열끼리 조합하거나 혹은 같은 계열간끼리도 조합하여 4제 이상 처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처방하는 것이 의학적으로 필요할 지는 모르지만, 동시처방은 가능하다.

 

진경제 중복처방시 삭감 사례

 위에서 언급한 작용기전별 병용처방 가능 조합과는 별도로 분류번호 239(기타의 소화기관용약)에 해당되는 약제중에서 Pinaverium(디세텔)과 Alverine 복합제(가베스판)의 약제가 동시에 처방되면 가베스판이 삭감되고 있음에 주의 -→ 2가지약제가 239로 분류번호가 같고, ATC 코드가 같기 때문에 삭감됨


예) Trimebutine(포리부틴) + Pinaverium(디세텔) + Alverine 복합제(가베스판) 병용 투여시 가베스판 삭감함

A03AA05(239) + A03AX04(239) + A03AX58(239)

예) 모티리톤 + Pinaverium(디세텔) + Alverine 복합제(가베스판) 병용 투여시 가베스판 삭감함

A16AX(239) + A03AX04 (239) +A03AX58 (239)

참고자료

  • Lee SH, Jee SR. Effect of antispasmod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8;61(7):428.
  •  Song KH, Jung HK, Kim HJ, Koo HS, Kwon YH, Shin HD, Lim HC, Shin JE, Kim SE, Cho DH, Kim JH, Kim HJ;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Group Under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 2017 Revised Editio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8;24:197-215.
  •  Annahazi A, Roka R, Rosztoczy A, Wittmann T. Role of anti-spasmodics in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World J Gastroenterol 2014;20:6031-6043. 
  • 닥터김의 건강보험 청진기(https://blog.naver.com/39954/222032477989)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