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항목
|
환자의 자세에 따른 검사방법
기립 상태(standing) | 누운 상태(supine) | 엎드린 자세(Prone) |
|
유발검사: 하지직거상 검사
|
|
환자의 자세 | 검사 | 검사방법/검사의미 | |
기립자세 | 시진 | 치우침(Deviation) 평가 |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 검사 frontal plane에서 검사 |
통증 평가 |
| ||
불규칙성 평가 | 뼈, 피부, 근육 | ||
요추운동 | 신전 | Range, pain, painful arc, deviation | |
측면굴곡 | Range, pain, painful arc, deviation | ||
굴곡(+목 굴곡) | Range, pain, painful arc, deviation | ||
운동신경검사 | 발끝으로 서기 | S1, S2 | |
누운자세 | Sacroiliac joint | distraction | SI joint의 염증 |
Hip joint | 굴곡, 외회전, 내회전 | Hip joint, buttock 병변 평가 | |
유발검사: Dura mater, 신경근(L4-S2)의 mobility | Straight leg raising | Range, pain, painful arc Crossed straight leg raising Neck flexion 'buttock sign' | |
운동신경검사 | Resisted flexion of hip joint | L2, L3 | |
Resisted dorsiflexion of foot | L4 | ||
Resisted extension of big toe | L4, L5 | ||
Resisted eversion of foot | L5, S1 | ||
감각신경검사 | 넓적다리 앞쪽 |
| |
넓적다리 앞쪽, 하퇴부의 안쪽 | L3 | ||
엄지발가락 | L4 | ||
엄지발가락/인접발가락 | L5 | ||
발의 바깥쪽 경계, 외측 2개 발가락 | S1 | ||
발꿈치쪽 발바닥 | S2 | ||
무릎 반사 | patellar tendon | L3 | |
발바닥반사 | 발의 발바닥쪽 | 척수 | |
발목반사 | 아킬레스건 | L5, S1, S2 | |
엎드린 자세 | 유발검사: L3 신경근 움직임 | 무릎의 수동성 신전 | Range, pain |
운동신경검사 | 무릎의 저항성 신전 | L3 | |
무릎의 저항성 굴곡 | S1, S2 | ||
엉덩이근의 수축 | S1, S2 | ||
촉진 | 요추부 극돌기 | 불규칙성 | |
신전력 | 엉치뼈(sacrum), 요추 | 통증 |
시진(inspection)/촉진(palpation)
- 신체검사 중 가장 중요한 과정은 시진!!
- 자세, 걸음걸이 등
- 정상범위에서 벗어나 있는지 부자연스러운지를 파악
시진
- 양상이 현저한 경우에만
- 보행
- 진통 보행: 고관절 혹은 슬관절 질환 시사
- 셔플링(shuffling gait) 보행: 경직이나 강직성의 신경학적 질환
- 척추 윤곽(spine curvature, contours)
시상면상 비대칭(saggital plane asymmetry) |
|
관상면상 비대칭(frontal plane asymmetry) |
|
촉진
- 주로 연조직의 비정상성을 찾아내기 위해 시행
기립 자세 | 엎드린 자세 |
A) Iliac crest B) Shelf C) Muscle spasm | 요추부 가시돌기(lumbar spinous process) 불규칙성 발견 |
운동범위(range of motion, ROM)/척추 움직임(Spinal movement)
- 요천추 굴곡 측정에서 상체를 전방으로 굴곡할 때에 지면 바닥과 손가락 사이의 거리로 흔히 측정
- 척추 전체의 만곡도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
전방굴곡 |
|
신전 |
|
외측 굴곡 |
|
회전 |
|
전방굴곡(Forward flexion) | 측면굴곡(Side flexion) | 회전(rotation) |
엉덩관절(고관절, Hip joint)
Flexion | Internal rotation | External rotation |
유발검사(provocation test)
lumbar root irritation
- 하지 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ising test, SLRT)
- 앉아서 하는 하지 직거상 검사
- SLR with neck flexion
- Bragard’s test(reinforced SLRT)
- ‘bowstring’ sign
- Naffziger test
- Flip test
- Buckling knee test
- Spuring test
- Ely test
- Fajersztajn test
하지직거상 검사(straight-leg-raise test, SLRT)
- 환자를 눕힌 상태에서 고관절을 30도에서 70도까지 굴곡하였을 때 종아리 뒤쪽으로 방사통이 나타날 경우 양성으로 한다.
특징 | 특이적이지는 않지만 요추부 추간판탈출증에 있어 가장 예민한 검사 검사 (-) → 요추부 추간판탈출증이 아님을 강하게 시사 |
방법 | 앙와위 또는 앉은 자세 앙와위 검사 →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발견에 더 높은 예민도를 보인다. |
결과 | 앙와위 하지직거상 검사의 경우 (+): 30~70°에서 방사통 발생 더 작은 각도에서 발생시 더욱 유의한 양성 결과이다. |
- 환자는 진찰대 위 에 반듯이 누운 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다리는 45도 각도로 굽히고 증상이 나타나는 다리는 진찰대 위에 평행하도록 뻗는다.
- 증상이 나타나는 다리의 발목을 90도로 굽힌 후,검사자는 무릎을 쭉 편 채로 증상이 나타나는 다리를 천장 쪽으로 천천히 든다.
- 검사를 시행하는 도중, 환자가 이환 부위에 평소 겪던 통증과 비슷한 종류의 통증과 감각이상을 호소할 경우 양성소견으로 판정한다.
SLR 검사 양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
Intraspinal lesions | Extraspinal lesions |
|
|
활줄징후(bowstring sign)
- 하지를 직거상한 상태(SLR)에서 통증을 유발하고 무릎을 구부린 후 통증이 다시 발생하는 경우
- 신경근 긴장의 가장 신뢰성 있는 검사
- 검사방법: 1) 우선 하지 직거상 검사를 통증이 재현될 때까지 시행한다. 2) 통증이 사라지는 순간까지 무릎을 약간 굴곡시킨다. 3) 검사자는 환자의 하지를 자신의 어깨에 놓고 쉬게 하며, 무릎 뒷편의 좌골신경이 지나가는 부위[오금(popliteal fossa)]를 누른다.
- 검사양성: 허리나 다리 아래로의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 현저한 신경근 자극이 있음을 시사
활시위 징후의 확인 슬관절 뒤쪽에는 내외측 슬근, 경골 및 비골 신경 등 네 개의 “다발(cords)" 이 있다. 두 신경에는 압통이 있지만 슬건 압력 시에는 통증이 유발되지 않아야 한다. |
앉은 자세에서 하지직거상 검사
|
Bragard’s test(reinforced SLRT)
|
교차 하지 직거상 검사(crossed straight-leg-raise test)
특징 |
|
검사방법 |
|
검사양성 |
|
하지 직거상 검사는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신경근병증의 진단에 민감도가 높으나 특이도는 낮다. 반면 교차 하지직거상검사(crossed SLR)는 특이도가 높으나 민감도가 떨어진다.
하지역거상 검사: femoral nerve stretch test(FNST)
|
SI 관절 (SI joint) 평가
|
Sacroiliac pain provocation tests: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병변을 조사하는 검사
Anterior ligements | Posterior ligaments | Anterior and posterior ligaments |
|
|
|
Distraction test(anterior gapping test) | Compression test(posterior gapping test) |
|
|
Patrick test(FABER 검사, Jansen 검사) |
|
Sacral thrust(downward pressure test) | Thigh thrust test |
|
|
Yeoman’s test | |
|
Gaenslen’ s sign |
|
신경학적 검사
- 추간판 탈출증의 90% 이상이 제4∼5요추간 추간판과 제5요추∼제1천추간 추간판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제5요추 신경근과 제1천추 신경근의 신경학적 평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제2∼4요추 신경근에 해당하는 피부분절의 감각이상과 이에 해당하는 운동기능과 반사기능의 이상이 동반된다면 상요추부 신경근병증 가능성 존재
Testing the integrity of spinal segmental innervation | Testing the integrity of spinal cord |
|
|
운동신경 검사(근력 검사)
- 근력 검사는 누운 자세에서 시행하는 것이 가장 좋다.
- 환자가 계속 서 있는 상태에서 발 끝으로 서 있는 능력을 검사함으로써 비복근(gastrocnemius)의 근력 측정
고관절 굴곡: L1, 2, 3 |
|
무릎 신전(knee extension): L3, 4 |
누운자세
엎드린 자세 |
고관절 내전(hip adduction): L2, 3, 4 |
|
족배굴곡(ankle dorsiflexion): L4, L5 |
|
엄지발가락 배굴(great toe dorsiflextion): L5 |
|
고관절 신전: S1 |
|
슬관절 굴곡(knee flexion): S1, S2 |
|
엉덩이근력 검사: S1,2 |
|
서 있는 상태에서의 검사
Rising on tiptoe: S1/S2 motor exam | 발뒤꿈치로 걷기(L5 신경근 침범 평가) | 발끝으로 걷기(S1 신경근 침범 평가) |
|
감각신경 검사
각 분절에서의 신경학적 결손(Neurological Deficit at Each Level)
신경근 | 반사 | 운동검사(근력저하) | 감각검사(감각저하) | |
영향받는 근육 | 근력저하 소견 | |||
L3 |
|
|
|
|
L4 |
|
|
|
|
L5 | None |
|
|
|
S1 |
|
|
|
|
S2 | S1과 동일 | S1과 동일 | S1과 동일 |
|
반사
심부건 반사(deep tendon reflex, DTR)
- 환자가 검사대 모서리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시행(대부분의 요통환자에게 가장 편한 자세로 통증에 의해 검사결과가 왜곡되는 일 없이 반사 검사 시행 가능)
- 슬관절 반사, 족관절 반사
슬관절 반사(knee reflex) | 족관절 반사(Ankle reflex)(diminished in L5, S1, S2 lesion) |
표재반사
- 복벽반사(abdominal reflex, T7-L1)
- 거고근 반사(cremasteric reflex, L1-L2)
- 항문 반사(anal reflex, S1-S3)
- 구해면체 반사(bulbocavernous reflex, S1-S3)
- 표재성 족저 굴곡 반웅(superficial plantar-flexor response): Babinski’ sign
기타 검사
혈액 순환(circulation) 검사
Femoral | posterior tibial | dorsalis pedis |
참고자료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7판(2013)
- 석세일. 척추외과학(2011). P300-331
- Gregory DS, Seto CK, Wortley GC, Shugart CM. Acute lumbar disk pain: navigating evaluation and treatment choices. Am Fam Physician 2008;78(7):835-42.
- Casazza BA.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low back pain. Am Fam Physician 2012;85(4):343–50.
- Ko HY et 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Low Back Pain: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Korean Association of Pain Medicine. Clinical Pain 2011;10:1-37
- Laslett M. Evidence Based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painful Sacroiliac Joint. J Man Manip Ther. 2008;16(3):142-52.
- Szadek KM, van der Wurff P, van Tulder MW, Zuurmond WW, Perez RS. Diagnostic Criteria for Sacroiliac Pain, A Systemic Review. J Pain. 2009;Apr:10(4):35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