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
Case review
Profile: 43세 남자
C.C: 하루 전부터 발생한 우측 뒷머리의 통증
- 특별한 이유 없이 자고 일어나니까 조금 아프기 시작했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콕콕 쑤시는 통증이 더 심해짐
- 통증 발생 전날 술을 많이 먹기는 했지만, 특별히 다치거나 한 적은 없음
통증의 양상은 감각신경 통증이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다음과 같다.
-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SCM) 중단에서 표재 경부신경총(superficial cervical plexus) 일부의 포착: 특히 소후두신경(lesser occipital nerve)과 대이개신경(great auricular nerve)
-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SpC)에서 대후두신경(greater occipital nerve)과 제3후두신경(3rd occipital nerve)의 근원인 C2와 C3의 후지(dorsal ramus)의 포착
P/E
- 우측 SCM의 중단을 지그시 촉진 시 jumping 수준의 압통 발생, 우측 SpC에도 저명한 압통 존재
Plan
- 우측 SCM 중단 후연 부위와 우측 SpC에 0.5% lidocaine 4ml 씩 주사
- 10분 경과 후 아픈 것이 바로 좋아졌다고 함
- 2일 후 방문: 통증은 거의 다 좋아져서 10% 정도만 남아있다고 함
고찰
추정 발병기전: 감각신경 두통
과음 후 불편한 자세로 잠을 자면서 목 주변부 근육 경직 발생: 특히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SCM),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SpC) |
▼ |
근육의 경직이 표재 경부신경총(superficial cervical plexus) 일부와 C2와 C3의 후지(dorsal ramus)를 포착 |
▼ |
뒷머리와 귀 주변의 감각신경 통증 유발 |
- SpC에 의한 C2 & C3 dorsal ramus 포착과 SCM 중단(midportion)에 의한 표재 경부신경총 포착
Superficial cervical plexus entrapment
- Cervical plexus: C1-C4 ventral ramus로부터 형성되어 SCM 바닥 깊이 위치
→ SCM 후연 중간 부위를 휘감고 돌아나오는 4 cutaneous branches
Superficial cervical plexus entrapment: SCM의 중간부위가 압박될 때 | ||||
| ▼ | ▼ | ▼ | ▼ |
4 cutaneous branches의 압박 | Lesser occipital n.(C2, 3) 압박 | Greater auricular n.(C2, C3) | Transverse cervical n.(C2, C3) | Supraclavicular n.(C3, C4) |
▼ | ▼ | ▼ | ▼ | |
감각신경 통증 발생 | 후두부 외측면 | 귀바퀴 주변, 외이도 | 목의 앞면부 | 상흉부, 어깻죽지, 극상근 |
가슴통증
Case review
Profile: 59세 여자
C.C: 갈비뼈가 아파요.
P.I
- 병변 부위:
- 좌측 유방 바로 아랫쪽 즉 좌측 6번째 rib의 costal cartilage (빨간 원으로 표시한 부위)
- 살짝 누르기만 해도 자지러지며 두 손으로 감싸는 양상 보임(→ 저명한 TTP)
rectus Abdominis 가 병변부위인 5, 6, 7 번째 rib의 costal cartilige에 insertion한다.
- rectus abdominis를 촉지 시 특별한 압통은 없음. 일단 0.1% 리도카인 DW를 10 cc 주사하고 10분간 경과 관찰
- 대흉근의 Abdominal head가 통증의 출처임을 확인하기 위해 Abdominal head 부위를 살짝 압박하니 유의할만한 압통을 보임 → 해당 부위에 0.2% 리도카인 DW 12 cc 주사 시행
대흉근은 clavicular head와 sternocostal head가 주로 언급되지만 abdominal head 도 존재한다. 통증의 원인으로 Abdominal head가 유력해보인다.
- 5분 후 통증이 크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함
고찰
복통
Case review: ACNE로 접근한 Irritable bowel syndrome
profile: 21세 남자
C.C: 수양성 설사, 쥐어짜고 바늘로 찌르는 듯한 복통
P/I
- 3개월 전 대학병원에서 만성 복통의 원인에 대해 복부 CT, 대장내시경 등의 검사를 받았으나 큰 이상은 없었다고 함
P/E
- 다열근: 복부 표재신경 T 8, 9, 10, 11에서 jumping sign(+)
Plan
- 우선 약만 처방
- Trimebutine (Polybutine tab. 100mg) 3T #3
- Tiropramide (Tiropa tab. 100mg) 3T #3
- Lactobacillus (Ramnos cap. 250mg) 3C #3
▼ 약 먹고 증상이 호전되었다가 7일 후 다시 내원
C.C: 묽은 변, 복통
P.I
- chilling 도 동반
- 1달에 1-2번 꼴로 극심한 복통 발생
- 복통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된다. 호전될 때는 기분 나쁘게 사르르 아픈 정도이고 악화될 때는 쥐어짜는 극심한 통증이 생긴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거의 매일 아프다.
P/E
- 다열근: 복부 표재신경 T 8, 9, 10, 11에서 jumping sign(+)
Assessment
- ACNE
Plan
- T 8,9,10 다열근에 3 cc 씩 투여 → 10분 후 복통의 강도는 절반으로 줄어듦 → 10분 후 30% 가량만 남아있고 지금까지 받아본 치료 중 가장 신속하고 효과적이었다고 말함
- 아직 증상이 남아있기 때문에 최소 1주 간격으로 치료(복통 발생 시 앞당겨 치료), 치료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면 2주 간격으로 간격을 늘려 보기로 가이드라인 제시
2차 |
|
3차 |
도 줄어듦(30분 이내)
|
4차 |
|
5-12차 |
|
고찰: 복부피부신경 포착증후군(abdominal cutaneous nerve entrapment syndrome, ACNES)
- 복부피부신경(abdominal cutaneous nerve)가 복직근(rectus abdomins muscle)을 통과하기 직전 musculofibrous tunnel(neuromuscular foramen)에 포착되어 과흥분됨으로써 통증이 유발된다는 가설

T7 opening | 복직근의 lateral margin이 7th rib과 만나는 지점의 내측 |
T8, T9 opening | T10 opening과 T7 opening을 연결한 선을 삼등분하는 지점 |
T10 opening | 배꼽 |
T11 opening | T10과 T12의 1/2 지점 |
T12 opening | internal inguinal ring level |
- 평가: 복직근(rectus abdominis)를 긴장시킨 상태에서 보조개처럼 움푹 패인 부위를 천천히 눌러 주변부의 압통과 구분되는 심한 통증유발점을 찾음
- 치료
- pinch and roll test로 포착된 유발점을 찾아 주사요법을 시행하여 통증을 완화시킴
- SNEPI
복통과 관련된 sympathetic nerve level
하부식도괄약근 | T5,6 |
위, 십이지장 | T6-9 |
간, 담도계 | T7-10 |
소장 | T8-11 |
대장 | T10-L2 |
부신수질 | T5-9 |
허리통증
Case review
Profile: 40세 여자
C.C: low back pain
P.I
- 전날 샤워를 하다가 미끄러져 안 넘어지려고 하던 중 심한 허리통증 발생
- 통증이 너무 심해 전날 타원에서 주사 맞고 약을 드시고 물리 치료도 받았다고 함
- 통증이 너무 심해 어찌할 바를 모르고 걷기도 힘들어 다른 사람에게 부축을 받아 내원. 숙이기도 힘들고 신발 신기가 어렵다고 함
P/E
- 침대에 눕는 것도 힘들어 함. 누워서 다리를 하나씩 들어 보라고 하니 전혀 하지를 못함. 뒤로 돌아누울 때도 간신히 낑낑거리고 매우 힘들어 함
- 대요근 압통점: 우측-상당한 압통, 좌측- 좀 덜한 압통
- 흉요추 다열근: 양측 압통(+)
- Pinch and roll test: (-)
Assessment
- 대요근 증후군 > 흉요추 증후군
Plan
- 관여도를 알기 위한 평가
흉추 제12번과 요추 제1번 다열근에 0.5% 리도카인 4 cc씩 주사 |
|
▼ | |
우측 대요근에 0.2% 리도카인 10 cc 주사 |
|
▼ | |
좌측 대요근에 0.2% 리도카인 10 cc 주사 |
|
▼ | |
10분 경과 |
|
고찰
대요근(psoas major)에 대한 이해
주행
대요근(psoas major): 천부(superficial part)와 심부(deep part)로 구분① | |
deep part | superficial part |
T12와 L1-L4 척추체 (vertebral body) 의 외측면과 이와 인접한 추간판(intervertebral disc)들로부터 여러 갈래를 통해 기시 | L1- L5 의 횡돌기 (transverse process) 로부터 여러 갈래를 통해 기시 |
▼ | ▼ |
장골근(iliacus)과 합쳐져 장요근(iliopsoas) 형성 cf. iliopectineal bursa(=iliopsoas bursa): 장요근과 hip joint capsule 앞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buffering system | |
▼ | |
좀 더 아래로 내려오다가 대퇴골(femur)의 소전자(lesser trochanter)에 정지 |
① 이전에는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과 대요근 사이를 요신경총이 지나가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았으나 실제로 대부분의 요신경총(lumbar plexus)은 대요근의 두 천층과 심층 사이에 놓여있다.
신경지배
- L1, L2, L3 척수신경의 앞가지(anterior ramus)로부터 innervation
cf. 장골근: 주로 L2, L3, L4 척수신경의 앞가지(anterior ramus)로부터 형성된 대퇴신경을 통해 innervation
대요근 과긴장으로 인한 요신경총 압박
요신경총 안 대퇴신경을 형성하게 될 신경섬유(L2, L3, L4)들의 선택적인 흥분 | |
▼ 대퇴사두근의 병적인 등척성 수축 | ▼ 대퇴사두근의 병적인 등장성 수축 |
대퇴부 앞면의 허혈 통증 유발 | patella와 femur의 medial & lateral condyle 사이의 관절 간격이나 femur와 tibia 사이의 관절 간격을 좁혀
|
요신경총 안 폐쇄신경을 형성하게 될 신경섬유(L2, L3, L4)들의 선택적인 흥분 | |
▼ 대퇴내전근들의 병적인 등척성 수축 | ▼ 대퇴내전근들의 병적인 등장성 수축 |
대퇴부 내측의 허혈 통증 유발 | 서혜부 내측의 골막자극에 의한 염증 통증 유발 |
요천신경총(lumbosacral plexus) 안 좌골신경이나 상둔신경을 형성하게 될 신경섬유들의 선택적인 흥분 | |
▼ 좌골신경 (sciatic nerve: L4, L5, S1-3) 신경섬유 | ▼ 상둔신경 (superior gluteal nerve: L4, L5, S1) 신경섬유 |
대퇴부 후면과 아랫다리의 허혈 통증 | 아랫다리 전외측과 발바닥의 감각신경 통증, 중둔근과 소둔근의 허혈로 인한 둔부의 통증 |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L2, L3 척수신경의 앞가지로부터 분지): 대요근의 두 층 사이에서 압박 받아 단독적으로 흥분 |
▼ |
이상지각성대퇴신경통(meralgia paresthetica): 대퇴부 옆면의 감각신경 통증이나 이상감각 유발 |
복직근이나 대요근을 뚫고 주행하는 abdominal cutaneous nerve의 흥분증상 (1) iliohypogastric nerve(L1) (2) ilioinguinal nerve(L1) (3) genitofemoral nerve(L1, L2) | ||
▼ | ▼ | ▼ |
iliohypogastric nerve(L 1) | ilioinguinal nerve(L1) | genitofemoral nerve(L1, L2) |
하복부 통증유발 | iliohypogastric nerve 바로 밑으로 대요근을 뚫고 나와 대퇴부의 upper and medial part, 그리고 남성에서는 음경의 root와 고환의 upper part의 피부 감각 담당 | genital branch와 femoral branch로 갈라져 upper anterior thigh와 anterior scrotum의 감각 지배 |

대요근 단축시 나타나는 증상들
대요근 심층 근섬유들의 병적인 등장성 수축 지속 | 대요근 천층 근섬유들의 병적인 등장성 수축 지속 | 장요근(대요근이 장골근과 만나 형성)이 대퇴골의 소전자에 정지하는 과정에서 병적인 등장성 수축 지속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