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통증 사냥법)의 기본 개념 및 접근


목차

통사의 핵심 개념

통증에 대한 통사의 기본 개념

NEP(Nerve Entrapment Point)

TTP(Tendon Traction Point)

  • 신경을 물리적으로 압박해 과도한 흥분이 일어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NEP
  • 근육의 통증이나 피부의 감각 신경 통증은 운동신경이나 감각신경의 포착(Nerve Entrapment)에 의한 현상으로 이해함
  • 힘줄을 잡아당겨 통증을 유발하는 TTP 
  • 힘줄에 의한 염증 통증에 대해서는 해당 근육에 존재하는 힘줄견인점(Tendon Traction Point: TTP)을 원인으로 이해함

 


 

근수축(Muscle contration)에 대한 이해

  • 우리 몸은 힘을 낼 때 근육을 통해서 힘을 낼 수 있음
  • 이 근육은 수축을 함으로써 힘을 낼 수 있는데 수축 방법은 크게 두 가지
  • 압력(tone)과 길이(meter)를 기준으로 구분
    1. 등장성 수축(압력이 일정한, Isotonic contraction): 압력이 일정한 수축
    2. 등척성 수축(길이가 일정한, Isometric contraction): 길이가 일정한 수축

 

근육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이 수축 과정의 문제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

vs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정의

  • 압력이 일정한 수축
  • 길이가 일정한 수축

 

  • 근섬유가 수축할 때 압력은 일정하면서 관절각과 길이가 짧아지면서 근수축이 일어나는 것
  • 근섬유가 수축할 때 관절각과 근육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적당한 근내압을 유지하며 근수축이 일어나는 것

주요 발생하는 근육

움직임(Motion)이 활발한 손가락과 손목, 발가락과 발목 등의 주위 근육

  • 몸이나 골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몸의 전반적인 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근육
  • 정상적인 등척성 수축을 하는 근육: 전거근(Serratus anterior), 대흉근(Pectoralis major), 대·소 능형근(Rhomboid major& minor), 승모근(Trapezius),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삼각근(Deltoid) 등 

병적인 경우

병적인 등장성 수축근

  • 섬유가 반복적인 사용이나 강한 외력으로 인해 손상받게 되면 이것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길이 단축 가능
  • 이때 등장성 수축이 일어나게 되면 길이가 단축된 영향으로 근육이 정지하는(붙는) 부위의 골막을 자극하거나 주변 구조물과 반복적인 마찰이 일어나 ‘딱딱’ 거리는 날카로운 염증 통증 유발 가능


병적인 등장성 수축 = 힘줄(건, Tendon)에 의한 통증 = 동적인 통증

병적인 등척성 수축

  • 등척성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 신경이 주변 근육이나 구조물들에 의해 포착(Entrapment, 끼거나 눌림)됨

 

병적인 등척성 수축 = 근육에 의한 신경 포착 통증 = 정적인 통증 

통증발생 기전

  • 병적인 등장성 수축이 지속되게 되면 단축된 근육에 의해 근육이 붙는 골막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주변 구조물들까지 반복적인 마찰로 염증 유발. 이것이 심화되면 이를 완충시켜주는 점액낭이나 건초까지 염증 발생 가능

 

 

 

  • 등척성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 신경이 주변 근육이나 구조물들에 의해 포착(Entrapment, 끼거나 눌림)되면 근육 전반에 걸쳐 허혈로 인해 흔히 뻐근하다고 표현하는 허혈 통증 발생(e.g. 담결림)

치료 포인트

힘줄 견인점(Tendon traction point, TTP)

  • 보통 근육의 정지부 쪽의 힘줄을 당기는 힘은 근육이 가장 두터운 근복에 그 무게중심이 위치
  • 이 부분은 근육 주행에 있어서 근내압이 가장 높게 올라가며 그만큼 손상에 취약한 곳
  • 진찰상 근육의 근복에 압통이 있는지 눌러보고 가장 심한 통증유발점이 있는 곳이 병적인 등장성 수축이 일어난 근육의 치료점

신경 포착점(Nerve entrapment point, NEP)

  • 신경 포착이 해결되지 않으면 병적인 등척성 수축이 유지되면서 계속적으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해결해줘야 함
  • 신경이 잘 눌릴 수 있는 해부학적 구조를 잘 알아야 함

 

 

① 마찰을 줄여주기 위한 구조물들이 존재하는데 바로 점액낭(Bursa)과 건초(Tendon sheath)가 이에 해당한다. 이 구조물들은 활액(Synovial fluid)이라는 물질로 채워져 있어 마치 물풍선처럼 쿠션 역할을 하여 조직 간의 마찰을 줄여주지만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이 구조물들에도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② 기존의 근막통증후군은 근막과 근육의 문제로 통증이 발생한다고 할 뿐 근육에 의한 신경 포착의 개념이 도외시된  경향이 있는데 근육으로 인해 신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개념이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tion)이다.


잠깐만! 

신경이 눌리는데 허혈이 왜 발생하는가?

  • 운동신경이 포착되게 되면 신경의 과흥분으로 인해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근육으로 가는 동맥혈과 정맥혈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다. 
  • 근육 혈액 흐름이 줄어들면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액틴-마이오신(Actin-myosin) 결합을 끊기 위해 필요한 ATP가 고갈되면서 근수축이 계속 유지된다. 아울러 근육 내에 쌓이는 산성 대사물질이 제거되지 못하고 조직 내에 쌓이면서 근육조직을 자극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통증이 유발된다. 

"쥐가 났다"고 흔히 표현하는 현상이다. 

 


 

NEP(Nerve Entrapment Point, 신경포착점)

  • NEP는 근육의 병적인 등척성 수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거나 해부학적으로 협소한 부위에 신경 끼임 현상이 생겨 통증이 발생될 때 그 원인이 되는 지점
  • 일차성 NEP와 이차성 NEP(또는 보상적 NEP)로 구분

 


일차성 NEP

  • A근육, B근육, C신경(A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이 존재한다고 치자!
  • C신경이 근육 A나 B에 의해 포착
    → C신경의 과흥분 발생
    → A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과 근 허혈 발생
    → ‘뻐근한, 담이 온 것 같은’ 통증 유발

이때 C신경(운동신경)을 포착(Entrapment)할 수 있는 A, B근육의 근복 부위를 신경 포착점이(NEP)라고 한다.

 

  • 관건이 되는 일차성 NEP는 세 가지 형태로 세분
    1. 근육의 허혈 통증을 유발하는 체성 운동신경(somatic motor) NEP
    2. 피부의 이상 감각 통증이나 관절낭의 날카로운 통증을 일으키는 체성 감각신경(somatic sensory) NEP
    3. 자율신경이 지배하는 장기의 기능부전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SNEP (Sympathetic Nerve Entrapment Point)

① SNEP는 임상적으로 자율신경의 포착이 주로 교감신경에서 기인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자율신경의 과흥분을 정상화하기 위해 척추 심부 근육 다열근(multifidus)에 리도카인을 주사하는 술법인 SNEPI 치료가 여기서 탄생

 


이차성 NEP

A 근육

 

 B 근육

등장성 수축을 하는 A 근육의 손상

→ 초기에 근육의 느슨함 초래. 이것이 지속되면 적절한 장력을 낼 수가 없고 힘줄이 관절을 지지하기 힘듦

A 근육 근위부의 B 근육을 통한 운동신경의 보상적 포착 유도

(손상된 A 근육의 근섬유들 말단을 가깝게 하여 치유하면서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A 근육이 보상적으로 수축(B 근육으로 인한 신경 포착이 A 근육을 수축하게 만듦) 

 

 

 

 

보상적 신경 포착, 이차성 신경 포착

 

 

 

신경 포착으로 인해 A 근육의 허혈 통증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정도 내압이 유지되기 힘들기 때문에 허혈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이런 상태가 지속될 시 B 근육 부위에 신경 포착 지점이 고착화되면서 새로운 신경 포착점, 즉 이차성&보상적 신경 포착점으로 자리 잡게 된다.

 

 


SNEPI(Sympathetic Nerve Entraptment Point Injection)

  • 교감신경의 포착에 초점을 맞춘 개념

혈류 공급 개선이라는 교감신경 조절로 다양한 증상 등을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치료해 완치에 가까운 효과를 보일 수 있다.

  • 척추주위 다열근(multifidus)의 과긴장이나 단축이 척추체의 정렬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추간공의 압력이 증가되면 이 부분의 spinal nerve trunk가 압박되어 앞/뒤가지/교통지의 과흥분 발생 가능

교감신경이 어딘가 눌려 있는데 이걸 주사로 풀어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쉽게 말하자면 자율신경 주사이다.



잠깐만! 

교감신경이 주사로 접근이 가능한가?

  • 자율신경은 내장 깊숙히 분포하기 때문에 여기에 직접 주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위험천만한 시도이다.
  • 척수의 신경은 교통지란 가지를 통해서 상호 신호 전달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척추 내 다열근 (multifidus m.)에 주사를 하면 그 안에 있는 신경이 자극을 받아서 척수의 교통지를 따라 sympathetic ganglion을 지나서 원위부의 장기의 혈류나 기능을 조절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미지

  • 교감신경의 분포
    • 흉추에서 나온 교감신경: 경추를 따라 올라가서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을 이루고 눈, 침샘, 심장, 폐 등으로 다양하게 분포
    • 흉추의 중간에서 나온 교감신경: 위, 십이지장, 소장으로 주행하여 분포
    • 흉추의 하부와 요추 상부 쪽에서 나온 자율신경: 비뇨기계 쪽으로 퍼져 나가 분포

 

교감신경의 분포
  • 하부식도괄약극: T5, T6, T7
  • 위, 십이지장: T6, T7, T8, T9
  • 간, 담도계: T7, T8, T9, T10
  • 소장: T8, T9, T10, T11    대장: T10, T11, T12, L1, L2
  • 부신수질: T5, T6, T7, T8, T9 (T10, T11)
  • 콩팥: T10, T11, T12
  • 하부 요로, 방광: L1, L2, L3



 

TTP(Tendon Traction Point, 힘줄 견인점)

  • TTP는 근육의 병적인 등장성 수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게 될때 그 원인이 되는 지점
  • 근육의 과도한 사용이나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근육이 수복되는 과정에서 근육의 단축이 일어나게 됨. 이로 인해 등장성 수축(일정한 내압)이 발생할 때 근육이 뼈에 붙는 접합부위(건)를 과도하게 잡아당기면서 골막 자극 증상과 주변 구조물들과의 마찰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이 발생
  • 이때 근육의 근복 부위, 즉 등장성 수축의 중심이 되는 근육의 두터운 근복 부위가 치료의 핵심 포인트가 됨 → TTP


스테로이드 뼈주사나 소염진통제가 전혀 섞이지 않는 생체성분으로 근육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NEP와 TTP를 회복시켜서 통증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것이 통사의 매력입니다.

 

 
 
PC
화면
메모
+

제2회 실전 임상진료아카데미


약처방의 달인되기: 일차진료에서의 약처방의 정석
  • 일시: 2025.02.08(토) 18:00-22:00
  • 장소: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B2F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
  • 대상: 의사, 의대생
  • 강사: 김종률, 박진용, 손정식, 안상현, 이상봉
  • 주최: 대한임상진료학회
  • 후원: 바른의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