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의 핵심 개념
통증에 대한 통사의 기본 개념
NEP(Nerve Entrapment Point) | TTP(Tendon Traction Point) |
▼ | ▼ |
|
|
근수축(Muscle contration)에 대한 이해
- 우리 몸은 힘을 낼 때 근육을 통해서 힘을 낼 수 있음
- 이 근육은 수축을 함으로써 힘을 낼 수 있는데 수축 방법은 크게 두 가지
- 압력(tone)과 길이(meter)를 기준으로 구분
- 등장성 수축(압력이 일정한, Isotonic contraction): 압력이 일정한 수축
- 등척성 수축(길이가 일정한, Isometric contraction): 길이가 일정한 수축
근육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이 수축 과정의 문제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 | vs |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② |
정의 |
|
| |
|
|
| |
주요 발생하는 근육 | 움직임(Motion)이 활발한 손가락과 손목, 발가락과 발목 등의 주위 근육 |
| |
병적인 경우 | 병적인 등장성 수축근
병적인 등장성 수축 = 힘줄(건, Tendon)에 의한 통증 = 동적인 통증 | 병적인 등척성 수축
병적인 등척성 수축 = 근육에 의한 신경 포착 통증 = 정적인 통증 | |
통증발생 기전 |
|
| |
치료 포인트 | 힘줄 견인점(Tendon traction point, TTP)
| 신경 포착점(Nerve entrapment point, NEP)
|
① 마찰을 줄여주기 위한 구조물들이 존재하는데 바로 점액낭(Bursa)과 건초(Tendon sheath)가 이에 해당한다. 이 구조물들은 활액(Synovial fluid)이라는 물질로 채워져 있어 마치 물풍선처럼 쿠션 역할을 하여 조직 간의 마찰을 줄여주지만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이 구조물들에도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② 기존의 근막통증후군은 근막과 근육의 문제로 통증이 발생한다고 할 뿐 근육에 의한 신경 포착의 개념이 도외시된 경향이 있는데 근육으로 인해 신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개념이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tion)이다.
잠깐만! 신경이 눌리는데 허혈이 왜 발생하는가?
"쥐가 났다"고 흔히 표현하는 현상이다. |
NEP(Nerve Entrapment Point, 신경포착점)
- NEP는 근육의 병적인 등척성 수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거나 해부학적으로 협소한 부위에 신경 끼임 현상이 생겨 통증이 발생될 때 그 원인이 되는 지점
- 일차성 NEP와 이차성 NEP(또는 보상적 NEP)로 구분
일차성 NEP
- A근육, B근육, C신경(A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이 존재한다고 치자!
- C신경이 근육 A나 B에 의해 포착
→ C신경의 과흥분 발생
→ A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과 근 허혈 발생
→ ‘뻐근한, 담이 온 것 같은’ 통증 유발
이때 C신경(운동신경)을 포착(Entrapment)할 수 있는 A, B근육의 근복 부위를 신경 포착점이(NEP)라고 한다.
- 관건이 되는 일차성 NEP는 세 가지 형태로 세분
- 근육의 허혈 통증을 유발하는 체성 운동신경(somatic motor) NEP
- 피부의 이상 감각 통증이나 관절낭의 날카로운 통증을 일으키는 체성 감각신경(somatic sensory) NEP
- 자율신경이 지배하는 장기의 기능부전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SNEP (Sympathetic Nerve Entrapment Point)①
① SNEP는 임상적으로 자율신경의 포착이 주로 교감신경에서 기인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자율신경의 과흥분을 정상화하기 위해 척추 심부 근육 다열근(multifidus)에 리도카인을 주사하는 술법인 SNEPI 치료가 여기서 탄생
이차성 NEP
A 근육 |
| B 근육 |
등장성 수축을 하는 A 근육의 손상 → 초기에 근육의 느슨함 초래. 이것이 지속되면 적절한 장력을 낼 수가 없고 힘줄이 관절을 지지하기 힘듦 | → | A 근육 근위부의 B 근육을 통한 운동신경의 보상적 포착 유도 (손상된 A 근육의 근섬유들 말단을 가깝게 하여 치유하면서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
| ↙ |
|
A 근육이 보상적으로 수축(B 근육으로 인한 신경 포착이 A 근육을 수축하게 만듦) |
|
|
↓ |
|
|
보상적 신경 포착, 이차성 신경 포착 |
|
|
신경 포착으로 인해 A 근육의 허혈 통증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정도 내압이 유지되기 힘들기 때문에 허혈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이런 상태가 지속될 시 B 근육 부위에 신경 포착 지점이 고착화되면서 새로운 신경 포착점, 즉 이차성&보상적 신경 포착점으로 자리 잡게 된다.
SNEPI(Sympathetic Nerve Entraptment Point Injection)
- 교감신경의 포착에 초점을 맞춘 개념
혈류 공급 개선이라는 교감신경 조절로 다양한 증상 등을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치료해 완치에 가까운 효과를 보일 수 있다.
- 척추주위 다열근(multifidus)의 과긴장이나 단축이 척추체의 정렬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추간공의 압력이 증가되면 이 부분의 spinal nerve trunk가 압박되어 앞/뒤가지/교통지의 과흥분 발생 가능
교감신경이 어딘가 눌려 있는데 이걸 주사로 풀어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쉽게 말하자면 자율신경 주사이다.
잠깐만! 교감신경이 주사로 접근이 가능한가?
|
|
교감신경의 분포
|
TTP(Tendon Traction Point, 힘줄 견인점)
- TTP는 근육의 병적인 등장성 수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게 될때 그 원인이 되는 지점
- 근육의 과도한 사용이나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근육이 수복되는 과정에서 근육의 단축이 일어나게 됨. 이로 인해 등장성 수축(일정한 내압)이 발생할 때 근육이 뼈에 붙는 접합부위(건)를 과도하게 잡아당기면서 골막 자극 증상과 주변 구조물들과의 마찰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이 발생
- 이때 근육의 근복 부위, 즉 등장성 수축의 중심이 되는 근육의 두터운 근복 부위가 치료의 핵심 포인트가 됨 → TTP
스테로이드 뼈주사나 소염진통제가 전혀 섞이지 않는 생체성분으로 근육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NEP와 TTP를 회복시켜서 통증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것이 통사의 매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