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의 핵심 개념
통증에 대한 통사의 기본 개념
NEP(Nerve Entrapment Point) | TTP(Tendon Traction Point) |
▼ | ▼ |
- 신경을 물리적으로 압박해 과도한 흥분이 일어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NEP
- 근육의 통증이나 피부의 감각 신경 통증은 운동신경이나 감각신경의 포착(Nerve Entrapment)에 의한 현상으로 이해함
| - 힘줄을 잡아당겨 통증을 유발하는 TTP
- 힘줄에 의한 염증 통증에 대해서는 해당 근육에 존재하는 힘줄견인점(Tendon Traction Point: TTP)을 원인으로 이해함
|
근수축(Muscle contration)에 대한 이해
- 우리 몸은 힘을 낼 때 근육을 통해서 힘을 낼 수 있음
- 이 근육은 수축을 함으로써 힘을 낼 수 있는데 수축 방법은 크게 두 가지
- 압력(tone)과 길이(meter)를 기준으로 구분
- 등장성 수축(압력이 일정한, Isotonic contraction): 압력이 일정한 수축
- 등척성 수축(길이가 일정한, Isometric contraction): 길이가 일정한 수축
|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 | vs |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
정의 | | |
| - 근섬유가 수축할 때 압력은 일정하면서 관절각과 길이가 짧아지면서 근수축이 일어나는 것
| - 근섬유가 수축할 때 관절각과 근육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적당한 근내압을 유지하며 근수축이 일어나는 것
|
주요 발생하는 근육 | 움직임(Motion)이 활발한 손가락과 손목, 발가락과 발목 등의 주위 근육 | - 몸이나 골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몸의 전반적인 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근육
- 정상적인 등척성 수축을 하는 근육: 전거근(Serratus anterior), 대흉근(Pectoralis major), 대·소 능형근(Rhomboid major& minor), 승모근(Trapezius),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삼각근(Deltoid) 등
|
병적인 경우 | 병적인 등장성 수축근 - 섬유가 반복적인 사용이나 강한 외력으로 인해 손상받게 되면 이것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길이 단축 가능
- 이때 등장성 수축이 일어나게 되면 길이가 단축된 영향으로 근육이 정지하는(붙는) 부위의 골막을 자극하거나 주변 구조물과 반복적인 마찰이 일어나 ‘딱딱’ 거리는 날카로운 염증 통증 유발 가능
| 병적인 등척성 수축 - 등척성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 신경이 주변 근육이나 구조물들에 의해 포착(Entrapment, 끼거나 눌림)됨
|
통증발생 기전 | - 병적인 등장성 수축이 지속되게 되면 단축된 근육에 의해 근육이 붙는 골막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주변 구조물들까지 반복적인 마찰로 염증 유발. 이것이 심화되면 이를 완충시켜주는 점액낭이나 건초까지 염증 발생 가능
| - 등척성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 신경이 주변 근육이나 구조물들에 의해 포착(Entrapment, 끼거나 눌림)되면 근육 전반에 걸쳐 허혈로 인해 흔히 뻐근하다고 표현하는 허혈 통증 발생(e.g. 담결림)
|
치료 포인트 | 힘줄 견인점(Tendon traction point, TTP) - 보통 근육의 정지부 쪽의 힘줄을 당기는 힘은 근육이 가장 두터운 근복에 그 무게중심이 위치
- 이 부분은 근육 주행에 있어서 근내압이 가장 높게 올라가며 그만큼 손상에 취약한 곳
- 진찰상 근육의 근복에 압통이 있는지 눌러보고 가장 심한 통증유발점이 있는 곳이 병적인 등장성 수축이 일어난 근육의 치료점
| 신경 포착점(Nerve entrapment point, NEP) - 신경 포착이 해결되지 않으면 병적인 등척성 수축이 유지되면서 계속적으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해결해줘야 함
- 신경이 잘 눌릴 수 있는 해부학적 구조를 잘 알아야 함
|
잠깐만! 신경이 눌리는데 허혈이 왜 발생하는가? - 운동신경이 포착되게 되면 신경의 과흥분으로 인해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근육으로 가는 동맥혈과 정맥혈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다.
- 근육 혈액 흐름이 줄어들면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액틴-마이오신(Actin-myosin) 결합을 끊기 위해 필요한 ATP가 고갈되면서 근수축이 계속 유지된다. 아울러 근육 내에 쌓이는 산성 대사물질이 제거되지 못하고 조직 내에 쌓이면서 근육조직을 자극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통증이 유발된다.
|
NEP(Nerve Entrapment Point, 신경포착점)
- NEP는 근육의 병적인 등척성 수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거나 해부학적으로 협소한 부위에 신경 끼임 현상이 생겨 통증이 발생될 때 그 원인이 되는 지점
- 일차성 NEP와 이차성 NEP(또는 보상적 NEP)로 구분
일차성 NEP
- A근육, B근육, C신경(A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이 존재한다고 치자!
- C신경이 근육 A나 B에 의해 포착
→ C신경의 과흥분 발생
→ A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과 근 허혈 발생
→ ‘뻐근한, 담이 온 것 같은’ 통증 유발
- 관건이 되는 일차성 NEP는 세 가지 형태로 세분
- 근육의 허혈 통증을 유발하는 체성 운동신경(somatic motor) NEP
- 피부의 이상 감각 통증이나 관절낭의 날카로운 통증을 일으키는 체성 감각신경(somatic sensory) NEP
- 자율신경이 지배하는 장기의 기능부전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SNEP (Sympathetic Nerve Entrapment Point)
이차성 NEP
A 근육 | | B 근육 |
등장성 수축을 하는 A 근육의 손상 → 초기에 근육의 느슨함 초래. 이것이 지속되면 적절한 장력을 낼 수가 없고 힘줄이 관절을 지지하기 힘듦 | → | A 근육 근위부의 B 근육을 통한 운동신경의 보상적 포착 유도 (손상된 A 근육의 근섬유들 말단을 가깝게 하여 치유하면서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
| ↙ | |
A 근육이 보상적으로 수축(B 근육으로 인한 신경 포착이 A 근육을 수축하게 만듦) | | |
↓ | | |
보상적 신경 포착, 이차성 신경 포착 | | |
SNEPI(Sympathetic Nerve Entraptment Point Injection)
- 척추주위 다열근(multifidus)의 과긴장이나 단축이 척추체의 정렬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추간공의 압력이 증가되면 이 부분의 spinal nerve trunk가 압박되어 앞/뒤가지/교통지의 과흥분 발생 가능
잠깐만! 교감신경이 주사로 접근이 가능한가? - 자율신경은 내장 깊숙히 분포하기 때문에 여기에 직접 주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위험천만한 시도이다.
- 척수의 신경은 교통지란 가지를 통해서 상호 신호 전달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척추 내 다열근 (multifidus m.)에 주사를 하면 그 안에 있는 신경이 자극을 받아서 척수의 교통지를 따라 sympathetic ganglion을 지나서 원위부의 장기의 혈류나 기능을 조절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

- 교감신경의 분포
- 흉추에서 나온 교감신경: 경추를 따라 올라가서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을 이루고 눈, 침샘, 심장, 폐 등으로 다양하게 분포
- 흉추의 중간에서 나온 교감신경: 위, 십이지장, 소장으로 주행하여 분포
- 흉추의 하부와 요추 상부 쪽에서 나온 자율신경: 비뇨기계 쪽으로 퍼져 나가 분포
|
교감신경의 분포 - 하부식도괄약극: T5, T6, T7
- 위, 십이지장: T6, T7, T8, T9
- 간, 담도계: T7, T8, T9, T10
- 소장: T8, T9, T10, T11 대장: T10, T11, T12, L1, L2
- 부신수질: T5, T6, T7, T8, T9 (T10, T11)
- 콩팥: T10, T11, T12
- 하부 요로, 방광: L1, L2, L3
|
TTP(Tendon Traction Point, 힘줄 견인점)
- TTP는 근육의 병적인 등장성 수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게 될때 그 원인이 되는 지점
- 근육의 과도한 사용이나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근육이 수복되는 과정에서 근육의 단축이 일어나게 됨. 이로 인해 등장성 수축(일정한 내압)이 발생할 때 근육이 뼈에 붙는 접합부위(건)를 과도하게 잡아당기면서 골막 자극 증상과 주변 구조물들과의 마찰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이 발생
- 이때 근육의 근복 부위, 즉 등장성 수축의 중심이 되는 근육의 두터운 근복 부위가 치료의 핵심 포인트가 됨 → 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