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성 통증(Cancer pain)


목차

암성 통증: 평가

개요

암성 통증의 종류

암과 연관된 분류
  1. 암 자체와 관련된 암성 통증
    1. 뼈, 연부조직, 근육, 신경 조직 내로의 침범
    2. Lymphedema, 장폐쇄, 뇌압 상승
  2. 치료 관련 통증: Postsurgical, postchemotherapy, postradiation, phantom pain
  3. 암의 진행에 의한 전신쇠약에 따른 통증: 변비, 욕창
  4. 기타 : 편두통, 허리통증, 관절염


생리학적 기전에 따른 분류
❶ 진행암 환자가 겪는 통증의 대부분에서 이 두 가지 기전이 혼재되어 있다.

 

침해수용통증

신경병증통증

정의

  • 장기 손상에 의해 침해수용체가 자극되어 생기는 통증
  • 2가지 종류: 체성 통증, 내장성 통증

 

  •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 이상에 의한 통증. 
  • 손상된 신경의 지배 영역의 감각이상 혹은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자극에도 통증을 느끼는 이질통(Allodynia) 등의 신경학적 이상 증상을 동반

양상

  1. 체성 통증: 피부, 뼈, 근육과 관련. 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예리하고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
  2. 내장성 통증: 내장 기관과 관련. 통증 부위를 구체적으로 알기 어려우며, 특징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통증
  • 타는 듯 하거나 저린 양상, 찌르거나 전기가 통하는 느낌, 따끔거리는 통증

치료

  • 비마약성 및 마약성 진통제로 대부분 조절이 가능
  • 진통제 치료에 보조진통제 병합 투여 및 중재적 통증 치료 등이 필요한 경우가 많음

 

통증의 시간적 발생 양상에 따른 분류
  1. 지속 통증
  2. 돌발 통증
    • 통증이 조절된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악화되는 통증
    • 움직일 때 악화되는 통증(예: 척추 전이에 의한 통증), 일시적으로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


암성 통증의 원인

  • 암 자체의 조직 침윤, 암의 치료에 따른 증상, 암에 따른 전신 쇠약, 암과 관련 없는 기존 질환 등

 


암성 통증 평가: 일반원칙

암환자에서의 통증은 혈압, 맥박수, 호흡수, 체온의 4가지 활력증후와 함께 5번째 활력증후로 평가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일반 원칙

  • 모든 암환자 진료 시 반드시 통증 유무를 확인할 것
  • 통증 유무 선별/통증 강도 측정 및 기록(통증 평가 도구 활용)
  • 통증을 호소하는 모든 환자(기존에 통증이 있었던 환자, 새로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포괄적 통증 평가 시행
  • 효과적인 통증 관리를 위해, 환자와 가족에게 가정에서도 평가 도구를 사용하도록 교육


포괄적 통증 평가

포괄적 평가의 목표

포괄적 통증 평가 항목 

  • 통증의 원인과 기전 찾기
  • 통증 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분석
  • 모든 요인을 종합하여 적절한 치료방법 선택(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신속한 통증 조절 시행)

 

  1. 통증 병력 : 관련 요인(P), 특성(Q), 위치/방사통(R), 강도(S), 시간적 양상(T)
  2. 현재 통증 치료력, 치료에 대한 반응, 돌발 통증 유무
  3. 통증 외의 암 관련 증상 평가
  4. 현재 암의 상태 및 암 치료력 평가
  5. 다른 동반 질환 및 암 진단 이전의 만성 통증 병력
  6. 정신사회적 평가 
  7. 통증 및 통증 조절에 대한 지식 및 오해
  8. 통증 조절에 대한 환자의 기대 정도 및 통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평가
  9. 신체 검사
  10. 적절한 검사 시행: 혈액검사, 영상 검사 등 


지속적 통증 평가

  • 주기적으로 통증 치료의 효과, 부작용 및 치료에 대한 순응도 등 평가
  • 숫자통증등급 등 척도 호전 여부 및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 호전 정도 평가
  • 입원 환자에게 마약성 진통제 투여 시 정맥 투여 15분 후 또는 경구 속효성 제제 투여 1시간 후에 통증 재평가
  • 외래 환자의 경우 통증 정도에 따라 수일에서 수 주마다(예: 1-4주) 재평가
  • 변비, 오심/구토, 졸림 및 기타 신경계 부작용에 대해 평가
  • 통증의 양상이 변화하거나 새로운 통증이 발생했을 때에는 통증을 전반적으로 재평가
  • 환자와 가족에게 통증 양상 변화 등을 보고할 수 있는 통증 자가 기록지의 이용 등 교육


통증 병력: PQRST

P (Provocation/Palliation)

악화 및 완화요인

  • 통증 악화 또는 완화 요인(자세, 움직임 등)을 평가

Q (Quality) 

특성

  • 통증의 특성을 가능한 환자가 자신의 말로 표현하도록 하여 그대로 기록
    예) 체성 통증 : 쑤심, 욱신거림, 누르는 듯, 찌르는 듯
    예) 내장성 통증 : 둔하게, 우리함, 쥐어짜는 듯
    예) 신경병증 통증 : 타는 듯, 저림, 콕콕 찌름, 무딤, 전기 통하는 듯

R (Region/Radiation)

위치, 방사통

  • 통증 위치 및 방사 부위 평가
  • 여러 부위에 통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환자가 신체 그림에 통증 부위를 표시하게 하고 가장 통증이 심한 부위를 별도 표시

S (Severity)

강도

  •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통증 강도 평가
    1. 숫자통증등급 (Numeric Rating Scale, NRS): 통증 없음(0), 경도 (1-3), 중등도 (4-6) 및 심함 (7-10)으로 구분한다.
      이미지
    2. 얼굴 통증 등급(Facial Pain Scale, FPS)
      이미지
    3.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자의 통증 평가: 환자의 행동을 관찰하여 평가하되, 이상행동의 원인으로 감정적 스트레스나 섬망 등 다른 원인 감별

T (Timing)

시간적 양상

  • 통증 시작 시기, 경과, 지속 시간, 지속성 여부 등

 

신체검사

  • 통증 평가 시 통증이 특별한 치료가 필요한 원인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매번 확인하는 것이 중요 
  • 척수 압박(spinal cord compression)이 임박한 상황에서 스테로이드나 방사선 치료 없이 마약성 진통제만 처방하는 것은 부적절
  • 체중을 지지하는 뼈의 골절, 장 폐쇄, 국소적 감염, 뇌나 뇌막 전이에 따른 통증의 경우는 종양 응급상황 →  원인에 따른 통증조절과 적절한 치료 병행

 



암성 통증: 치료

암성 통증의 치료원칙

치료목표

  • 가능한 통증이 없는 상태로 유지 + 평상시와 가까운 생활 가능 
  • 다음과 같이 단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치료를 시작할 때 환자에게 설명을 해 주는 것이 중요
  1. 야간에 통증에 방해받지 않고 잘 자게 한다.
  2. 다음으로 주간에 안정하고 있을 때도 통증을 없게 한다.
  3. 최후로 몸을 움직여도 통증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만든다.


통증 치료원칙에 따른 적절한 치료로 목표 1과 2는 2-3일 정도, 목표 3은 1주일 이내에 대체적으로 가능하지만, 목표 3은 모든 환자에 가능하다고 할 수 없다.

 

치료원칙

  • 전신 상태, 돌봄의 목표, 약물 부작용 및 상호 작용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치료 방법 선택
  • 다학제적 치료 계획
    • 다학제적 접근: 약물 치료, 심리사회적 지지, 중재적 통증 치료, 방사선 치료 등
    • 통증 평가 및 치료에 걸쳐 모든 단계에서 심리사회적 지지 제공
    • 통합적 치료 활용: 물리적 요법(보조기, 물리치료, 마사지, 찜질 등), 인지 요법(심상요법, 이완 훈련 등) 등
  • 통증 관리에 대한  환자/가족 교육 제공


치료방법

비약물요법
  • 약물 치료 이외에도 자가통증조절 가능한 비약물적 방법 고려
  • 마사지
  • 냉찜질/온찜질
  • 심호흡과 이완요법
  • 상상요법
  • 기본전환 
  • 통증으로부터 주의를 환기시키는 방법: 음악을 듣거나 텔레비전을 보는 것


약물요법
  1. 비마약성 진통제
  2. 마약성 진통제

 

 

암성 통증 선별, 평가 및 치료

이미지



 

암성 통증의 약물요법: 약물요법의 원칙

암성 통증 환자의 진통제 투여 기본원칙
By mouth
  • 가능한 한 경구투여가 원칙

By ladder
  • WHO 3단계 진통제 사다리를 참고하여 진통제를 선택, 추가 함
  • 통증의 종류에 따라 통증 정도와 상관없이 진통 보조제를 병용

WHO 3단계 진통제 사다리

이미지


By the clock
  • 진통제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투여하여 혈중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것 
  • 돌발성 통증(breakthrough pain)에 대해서는 속효성 진통제를 미리 처방하여 환자 스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


By the individual
  •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진통제의 종류와 양 결정


By attention to detail
과량이나 과소투여가 되고 있지 않은지, 부작용, 정신적인 변화를 관찰. 진통제 부작용을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해 변비 완화제와 같은 약물 사용



마약성 진통제

일반 원칙

  • 환자마다 적절한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 용량, 투여 경로를 개별화하여 선택
  • 진통제 투여 경로는 경구를 우선으로 하되, 상황에 따라 적절한 경로 선택
  • 적정 용량은 부작용 없이 통증이 조절되는 용량으로, 환자마다 개별화하여 투여
  • 통증 강도의 어느 단계에서나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 조절 가능
  • 신기능/간기능 저하, 만성 폐질환, 호흡기 합병증, 전신 쇠약 환자의 경우 용량 적정에 주의
  • 서방형 진통제를 주기적으로 투여하고, 돌발 통증에 대비하여 속효성 진통제 처방
  • 고용량의 진통제 필요시 복합 성분 마약성 진통제보다 단일 성분 마약성 진통제 투여
  • 마약성 진통제 용량을 충분히 증량해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지속적인 부작용 발생시 통증을 재평가하고 진통제 전환(Rotation), 보조진통제 투여, 중재적 통증 치료 등을 고려

 

마약성 진통제 종류 및 선택

  • 마약성 진통제 수용체에 대한 작용에 따라 순수 작동제, 부분 작동제, 혼합작동-길항제로 분류
  • 암성 통증 치료를 위해서는 순수 작동제 투여. 단 Pethidine은 반복 투여 시 대사 산물 축적으로 발작 및 부정맥 발생 위험이 있어 만성 암성 통증조절에 사용하지 않음
  • 혼합형 작동-길항제는 순수 작동제 투여 중인 환자에게 투여 시 금단증상 및 통증 악화를 유발하므로 암성 통증 조절에 사용하지 않음
  • 통증 강도, 현재 치료 중인 진통제, 동반 질환, 전신 상태를 고려하여 각 환자에게 적절한 약제 선택

 

 

 

통증 조절 전략

마약성 진통제 용량 적정
마약성 진통제 용량 적정

이미지

  1. 마약성 진통제 투여력이 없는 환자의 경우 초기 용량은 경구 morphine 5-15mg(혹은 동등 진통 용량의 다른 마약성 진통제)을,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 중인 환자의 경우 이전 24시간 투여량의 10-20%을 속효성 제제로 투여
  2. 경구 속효성 제제는 투여 60분, 주사제는 투여 15분 후 진통 효과와 부작용 평가
  3. 통증이 감소하면 동일 용량으로 필요 시 반복 투여
  4. 통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용량을 50-100% 증량하여 투여 후 재평가. 통증이 감소할 때까지 2~3회 반복
  5. 용량 증량을 반복해도 통증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통증을 포괄적으로 재평가하고 주사 마약성 진통제로 용량 적정 및 치료 계획 재검토(보조진통제 추가, 중재적 통증 치료, 마약성 진통제 전환 등).
  6. 속효성 진통제로 안정적으로 통증이 조절되는 경우 이전 24시간 동안 투여한 마약성 진통제의 총량에 근거하여 지속성 진통제(속효성 진통제 24시간 요구량의 50%) 및 돌발 통증에 대비한 속효성 진통제 처방
  7. 통증이 NRS 3 이하이면서 지속적인 부작용 발생 시 진통제 용량을 10~25% 정도 감량 후 재평가

 

돌발 통증 관리: 속효성 진통제 투여
  • 돌발 통증에 대비하여 속효성 진통제(이전 24시간 투여된 마약성 진통제의  10~20%)를 처방할 것
  • 특정 상황에서 발생하는 통증(Incident pain): 통증을 유발하는 상황(예: 움직일 때)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속효성 진통제 투약
  • fentanyl 경점막 속효성 제제: 경구 morphine으로 60 mg/일(혹은 동등 진통 용량의 다른 마약성 진통제) 이상의 용량으로 1주일 이상 투여한 환자의 돌발 통증 조절을 위해 투여. 마약성 진통제를 처음 사용하는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음

 

마약성 진통제 전환 (Opioid Rotation)

  • 통증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거나 지속적인 부작용 발생 시, 투여 경로 변경 필요시 다른 종류의 마약성 진통제로 변경 고려


  • 지난 24시간 동안 투여한 마약성 진통제 총량 계산
  • 동등 진통 용량표를 이용해 변경하여 사용할 마약성 진통제 용량 계산
    1. 통증 조절이 잘 되고 있는 경우: 새 약제의 용량은 처음 계산한 총 용량에서 25~50% 감량 투여
    2. 통증 조절이 불충분한 경우: 새 약제의 용량은 처음 계산한 총 용량의 100-120%로 투여
    3. 새 약제 투여 시작 및 주의 깊게 용량 적정

약물

Dose equianalgesic to 10mg IV/SC morphine

PO:IV/SC

 potency 

ratio 

반감기(시간)

작용시간 

PO

IV/SC

Morphine

30

10

1:3

2-3.5

3-6

Codeine

200

-

-

2-3

2-4

Oxycodone

20

-

-

3-4

2-4

Tramadol

120

100

1:1.2

6

4-6

Hydromorphone

7.5

1.5

1:2-1:5

2.5

4-5

Hydrocodone

15-30

-

-

-

-

 

  • fentanyl 경피패치로 진통제를 전환하는 경우
    • 가급적 안정적인 통증 조절 용량이 정해진 후 fentanyl 경피패치로 전환
    • fentanyl 경피패치로 전환 후 8~24시간 내: 속효성 진통제를 미리 처방하여 필요시 투약

 

fentanyl 경피 패치 동등 진통 용량표

IV/SC Morphine

경구 Morphine

Transdermal Fentanyl

10mg

30mg

12mcg/h

20mg

60mg

25mcg/h

40mg

120mg

50mcg/h

60mg

180mg

75mcg/h

80mg

240mg

100mcg/h

 

예시: morphine 투여의 실제

morphine  용량 적정


  1. 속효성 경구 morphine
    • 규칙 용량 10-20 mg q4 hr
    • 돌발 통증 5-10 mg q1 hr prn
  2. 서방형 경구 morphine
    • 30-60 mg q12 hr

만일 24hr 투여 총 용량이 120 mg인 경우

‘정기적인 서방형 morphine 투여’

60 mg q12hr

+

‘돌발 통증 속효성 morphine 투여’

이전 24 hr 총량의 10-20% 고려

15 mg(12-24 mg) q1 hr prn


morphine  사용 후 평가

 

 

의식 상태 : 명료

의식 상태 : 졸음

 

통증이 경감된 경우

  • morphine 에 잘 반응하는 상태

 

  • 부분 반응 상태 → morphine  용량 과다 여부 확인, 진통 보조제 추가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 용량 증가 혹은 진통 보조제 (NSAIDs를 포함) 추가
  • morphine  저항성 상태 →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나 투여 방법 변경 혹은 진통보조제 추가

 

 

 

비마약성 진통제

  • NSAIDs, Acetaminophen(Paracetamol) 등 포함
  • 주로 약한 통증(NRS 1~3점) 조절을 위해 투여하되 모든 강도의 통증에 투여 가능
  • 최대 투여량 이상으로 증량하는 경우, 진통 작용은 증가하지 않고 부작용만 증가하는 천장효과(Ceiling effect)가 있음

 

진통제 선택

  • 종류별로 진통 효과는 큰 차이가 없고 부작용에만 차이가 남
  • 서로 다른 종류의 NSAIDs 병합은 효과보다 부작용이 증가하여 권장하지 않음
  • 약제 선택 시 약제별 특성, 동반 질환, 약물 상호 작용 고려

 

환자/부작용에 따른 선택

환자상태

권장 약제

혈소판 감소증 또는 출혈 경향이 있는 경우

  • AAP

위궤양, 위출혈 등 소화관 장애가 우려 되는 경우

  • AAP
  • 필요한 경우 NSAIDs와 위점막보호를 위한 proton pump inhibitor, H2 차단제, misoprostol 등을 같이 사용
  • COX-2 선택억제제

간 기능 장애의 우려가 있는 경우

  • AAP보다는 NSAIDs 고려
    (AAP은 장기간 사용 시 간 기능장애를 유발함)

신장 장애가 있는 경우

  • AAP, sulindac

천식 및 과민증이 있는 경우

  • AAP 고려
  • aspirin은 천식에서 금기

뼈 전이에 의한 통증, 염증을 동반하는 통증, 피부 전이 통증, 관절통이 있는 경우

  • NSAIDs
  • AAP은 소염작용이 없어 효과가 덜함

설사가 있는 경우

  • mefenamic acid 사용 회피

두통이 있거나 뇌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 indomethacin 사용 회피

 

  •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고려: 항응고제 (Warfarin), Methotrexate, Digoxin, Lithium, 경구혈당강하제, Aminoglycoside 등을 복용하는 경우 이러한 약물의 혈중 농도 증가 가능. Spironolactone과 병용할 경우 고칼륨혈증 유발 가능

 

부작용

  • NSAIDs 병용 시 항암치료 부작용(혈소판감소증, 혈액응고장애, 신독성, 간독성,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 증가
  • NSAIDs 궤양 예방 : Misoprostol, Proton pump inhibitor, H2-blocker를 같이 처방하거나 COX2 차단제로 투여

 

Acetaminophen

간독성

NSAIDs

위장관 출혈, 간독성, 신독성, 심부전, 조혈기능장애

 - aspirin

이명, 난청, Reye 증후군

 - indomethacin

어지럼증, 두통, 파킨슨병 증상 악화

 - ibuprofen, sulindac

무균 수막염

 - mefenamic acid

용혈 빈혈, 설사

 - phenylbutazone

재생불량 빈혈, 무과립구증

 - piroxicam

광과민증

 

특수 상황에 따른 통증조절

뼈 전이 통증, 신경병증 통증 등은 마약성 진통제로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이미지

 

뼈 통증: Bisphosphonate

약제

용량

Pamidronate

1회 90mg 4주마다 정주: 300~600mg 경구 투여

Etidronate

시작 용량: 5~10㎎/kg/day, 상용량: 10~20㎎/kg/day

Zoledronic acid

1회 4mg 3~4주마다 정주

 

신경병성 통증

항우울제
  • 마약성 진통제와 병용 시 진통 효과 상승
  • 수면장애, 불안장애, 우울증을 동반한 경우 유용

약제

투약 개시

최대 용량

Amitriptyline

10~25㎎/day 취침 전

100㎎/day

Nortriptyline

30~75㎎/day 하루 3회 분복

150㎎/day

Duloxetine

60㎎/day 아침 식후 30분

120㎎/day

 

항경련제
  • 암성 신경병증통증에 마약성 진통제와 병합 투여
  • 중추신경계 부작용 (두통, 졸림, 어지러움)이 흔하여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점차 증량
  • 신기능 저하 시 주의
  • Carbamazepine: 백혈구 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혈액검사 필요

약제

투약 개시

최대 용량

Gabapentin

1일: 300mg qd 또는 100mg tid

2일: 300mg bid 또는 200mg tid

3일: 300mg tid

3,600㎎/day

Pregabalin

시작 용량: 75mg bid

3~7일: 150mg bid

600㎎/day

Carbamazepine

200~400mg/day

800mg/day

 

Ketamine
  • 마약성 진통제 불응성 통증 및 암성 신경병증통증에 투여 가능
  • 용량: 0.1~0.2mg/kg IV 로 시작하여 적정
  • 부작용: 악몽, 환각, 섬망, 혈압상승, 맥박증가, 안구진탕, 구역, 구토, 침 분비


국소 진통제
  • Lidocaine patch (5%): 신경병증 통증 부위에 적용가능
  • Capsaicin cream/patch: 국소 신경병증 통증 부위에 적용가능
  • NSAIDs gel/patch

 

참고자료

  • 보건복지부/국립암센터.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 6판(2018년 4월 25일 6판 4쇄 발행)
  • 보건복지부/국립암센터.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 5판(2012년)
  • 보건복지부.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 4판(2010년)
  • Bae S-B, Lee S-C. Medical Treatment of Cancer Pain: Drug Therapy according to Guidelin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8;93(3):260–5.
  • Park SS. Cancer Pain Management - Opioid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0;53(3):250.
  • Kim DH. Cancer Pain Management -Nonopoid Analgesics. J Korean Med Assoc 2010; 53(2): 164-168.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