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림프절이란
신체의 림프절 분포영역
림프절 종대의 발생기전
원인 및 감별진단
전신 림프절 종대(Generalized lymphadenopathy)
국소 림프절 종대(Regional lymphadenopathy)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
(Smart) 실전진료 point ## 실전포인트: 림프절 종대가 맞는가? 해당 림프절이 정말 커져 있는 것인가?
커져 있는 것이 정말로 림프절인가?
실전포인트: 원인 및 감별진단
실전포인트: 진단적 접근
|
개요
림프절이란
- 림프절은 림프구가 생성되는 골수나 흉선과 같은 일차 림프기관과는 달리 생성된 림프구를 유지하고 적응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말초림프기관
- 분포: 약 450-600여개의 림프절이 전신의 주요 혈관구조를 따라 분포
신체의 림프절 분포영역
림프절 부위 | 배액되는 부위 |
쇄골밑 | 흉부, 복부 |
삼각흉근(Deltopectoral) | 팔 |
겨드랑이 | 팔, 가슴(breast), 흉부, 목 |
팔꿈치(Epitrochlear) | 팔꿈치 아래팔 |
사타구니 | 하지, 생식기, 엉덩이, 배꼽 아래 복벽 |
오금(Popliteal) | 하부 하지(Lower leg) |
머리/목 | |
귓바퀴앞(Preauricular) | 전방/측두 두피, 전방 이도(ant. ear canal), 결막 |
귀밑샘 부위 | 이미/측두 두피, 안면 중간부위, 외이도, 중이, 잇몸, 귀밑샘 |
귓바퀴 뒤 | 측두부/두정부 두피 |
턱끝밑(Submental) | 아래 입술, 구강 바닥 |
아래턱밑(Submandibular) | 빰, 코, 입술, 혀, 턱밑샘, buccal mucosa |
얕은 목 부위 | 후두 아래쪽, 아래쪽 이도(ear canal), 귀밑샘 |
깊은 목 부위 | 편도, 아데노이드, 뒤쪽 두피, 목, 혀, 후두, 갑상선, 입천장(palate), 코, 식도, 부비동 |
림프절 종대의 발생기전
- 내부 세포들의 증식: 림프구, 형질세포, 단구, 조직구 등
- 외부 세포의 침윤: 중성구, 악성 종양 세포
- 감염: 림프절 종대의 가장 흔한 원인
원인 및 감별진단
전신 림프절 종대(Generalized lymphadenopathy)
감염
[바이러스 감염]
- 상기도 감염
- 감염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
-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증
-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 풍진/수두/홍역
[세균 감염]
- 패혈증
- 장티푸스
- 결핵
- 매독
[원충 감염]
- 톡소포자충증(Toxoplasmosis)
[곰팡이 감염]
- 콕시디오이데스진균증(Coccidioidomycosis)
자가면역질환/과민반응 상태
- 소아류마티스관절염
- 전신홍반루푸스
- 약물 반응(예. phenytoin, allopurinol)
- 혈청병(Serum sickness)
축적병(Storage diseases)
- Gaucher disease
- Niemann–Pick disease
종양/증식 질환
- 급성 백혈병
- 림프종(호지킨, 비호지킨)
-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 조직구증(Histiocytoses)
국소 림프절 종대(Regional lymphadenopathy)
목 부위(Cervical)
- 바이러스 상기도 감염
- 감염단핵구증
- 풍진
- 고양이 할큄병(Catscratch disease)
- 사슬알균 인두염
- 급성 세균 림프절염
- 톡소포자충증(Toxoplasmosis)
- 결핵/비전형 결핵 감염
- 급성 백혈병
- 신경모세포종
-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 가와사키병
종격 부위(Mediastinal)
- 급성 림프모구백혈병
- 림즈종
- 사르코이드증
- 결핵
- 히스토플라스마증(Histoplasmosis)
- 콕시디오이데스진균증(Coccidioidomycosis)
겨드랑이(Axillary)
- 국소 감염
- 고양이 할큄병(Catscratch disease)
- 브루셀라증(Brucellosis)
- 백신접종에 의한 면역반응
- 림프종
- 소아류마티스관절염
위턱밑(Submaxillary)/턱끝밑(submental)
- 구강/치아 감염
- 급성 림프절염
뒤통수 부위(Occipital)
- 이감염증(Pediculosis)
- 두피백선
- 국소 피부감염에 의한 이차적인 반응
- 풍진
- 장미진(Roseola)
귓바퀴앞(Preauricular)
- 국소 피부감염
- 만성 눈 감염
- 고양이 할큄병
쇄골위(Supraclavicular)
- 림프종
- 결핵
- 히스토플라스마증(Histoplasmosis)
- 콕시디오이데스진균증(Coccidioidomycosis)
복부
- 급성 장간막림프절염(mesenteric adenitis)
- 림프종
사타구니(Inguinal)
- 국소 감염
- 기저귀 피부염
- 벌레 물림
- 매독
- 성병림프육아종(Lymphogranuloma venereum)
참고자료
- Henry M, Kamat D. Integrating basic science into clinical teaching initiative series: approach to lymphadenopathy. Clin Pediatr (Phila) 2011;50(8):683–7.
- Jung NG. Lymphadenopathy. Korean J Pediatr 2008;51(8):797–803.
- Nield LS, Kamat D. Lymphadenopathy in children: when and how to evaluate. Clin Pediatr 2004;43(1):2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