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병력/신체검사
림프절 종대의 일반적인 고려사항
림프절 종대의 크기
림프절 종대의 성상
림프절 종대의 위치
기타 병력/동반증상
진단 검사
일반 검사
추가 검사
영상 검사
침흡인(needle aspiration) 검사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
-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의 감별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
- 질환의 이해에 기초한 자세한 병력청취와 진찰을 통해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잘 선택할 것
- 병력이나 신체검사에서 악성질환이나 전신적 질환의 증거가 없는 경우 특별한 검사 없이 적절한 간격의 경과관찰을 시행할 것
병력/신체검사
림프절 종대의 일반적인 고려사항
림프절 종대의 크기
- 대부분의 림프절은 신생아기에는 촉지되지 않으나 감염과 같은 항원에의 노출로 림프조직의 양이 증가되면서 소아기에 만져지는 경우가 많음
- 신생아기에도 림프절이 촉지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정상과 비정상인 림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크기의 기준은 없음
정상적인 림프절의 크기 | ↔ | 비정상 |
|
|
림프절 종대의 성상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림프절 종대
세균 감염에 의한 림프절 종대
만성 염증으로 인한 림프절 종대
악성질환의 침윤으로 인한 림프절 종대
|
림프절 종대의 위치
원발병소의 위치와 연관이 되어 있으므로 림프절 종대의 위치는 감별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
기타 병력/동반증상
국소 림프절 종대
전신 림프절 종대
|
- 악성질환을 시사할 수 있는 주요 소견
- 호지킨림프종의 ‘B 증상들’: 최근 6개월 이내의 10% 이상의 체중감소, 발열, 비정상적으로 옷을 갈아입을 정도로 과도한 발한
- 간비대나 비장비대, 출혈반이나 점상출혈: 혈액질환 감별
진단 검사
질환의 이해에 기초한 자세한 병력청취와 진찰을 통해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잘 선택
병력, 신체검사 소견 | |
↙ | ↘ |
악성질환이나 전신적 질환의 증거가 없는 경우 | 악성질환이나 전신적 질환의 우려가 있는 경우 |
↓ | ↓ |
특별한 검사 없이 적절한 간격의 경과관찰 시행 | 적절한 검사 시행 |
일반 검사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검사: 전체혈구계산(CBC), 말초혈액도말검사, 적혈구침강속도(ESR), 혈청 내 LDH, uric acid, 간효소
CBC
ESR
간기능검사
특이항체검사
결핵반응검사
흉부방사선검사
|
추가 검사
- 일차적인 검사 결과가 정상이더라도 림프절 종대가 지속 또는 크기가 증가하거나 새로운 병변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좀더 자세한 검사 필요
- 흉부방사선 사진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흉부 CT 등의 검사가 필요하며 악성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복부에 대한 영상검사도 실시
영상 검사
초음파
CT/MRI
PET/CT
|
침흡인(needle aspiration) 검사
- 침흡인 검사: 세침 흡인(fine needle aspiration) 검사, core needle biopsy
- 농양의 형성이 의심되는 림프절의 경우: 세침 흡인 검사를 통해 흡인된 검체로 호기성, 혐기성 및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배양이나 염색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됨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
- 악성종양질환이나 기타 중증질환들을 확실하게 감별하는 방법
- 환자의 병력이나 진찰소견이 양성질환을 시사하는 경우
- 생검을 하기보다는 2-4주 간격으로 경과관찰 시행
- 세균감염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항생제를 사용하면서 경과관찰 시행
- 악성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이 있는 경우 생검이 필요하며 특히 복합적인 소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생검 필요
조직생검을 시행해야 하는 임상소견①
|
① 하나의 소견으로 림프절 생검여부를 결정하기는 애매하고, 2개 이상 소견이 있다면 림프절 생검여부를 고려해 볼 수 있을 듯 함
- 조직생검의 일차적인 소견에서 악성질환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하더라도 림프절 종대가 지속되는 경우 계속적으로 경과관찰 시행
- 특히 세침검사에서 양성질환으로 진단된 경우라 해도 악성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 지속되는 경우 절개 생검 시행
림프절종대의 진단적 접근 흐름도
참고자료
- Jung NG. Lymphadenopathy. Korean J Pediatr 2008;51(8):797–803.
- Nield LS, Kamat D. Lymphadenopathy in children: when and how to evaluate. Clin Pediatr 2004;43(1):25–33.
- Henry M, Kamat D. Integrating basic science into clinical teaching initiative series: approach to lymphadenopathy. Clin Pediatr (Phila) 2011;50(8):6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