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병원체 및 역학
발병기전
임상양상
구강-목-얼굴 질환(55%)
흉부 질환(15%)
복부 질환(20%)
골반 질환
중추신경계 질환
파종 질환
진단
치료
1차 치료제
2차 치료제(penicillin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 방선균증(actinomycosis)은 만성 화농 육아종 질환으로 흔히 Actinomyces israelii에 의해 일어난다.
- 대표적인 특징
- 조직의 경계를 넘어서는 덩어리를 형성하며,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종양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 자연적으로 호전되기도 하고 재발하는 동굴(sinus tract)을 형성한다.
-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 필요(단기간의 항생제 치료로는 치료가 되지 않거나, 재발을 하기 때문)
개요
병원체 및 역학
- A. israeli m/c
- 구강인후, 위장관, 여성생식기 계통에 존재하는 정상상재균
발병기전
- 선행요인: 점막 방어벽 붕괴
- 구강얼굴질환: 치과치료, 구강외상, 구강수술, 구강 방사선 치료
- 폐질환: 흡인병력
- 복부질환: 위장관수술, 게실염, 맹장염, 이물질(foreign body)
치과치료, 구상외상, 구강수술, 구상 방사선 치료
임상양상
구강-목-얼굴 질환(55%)
- 하악골 주위(perimandibular) m/c, 혀 ,비강, 비인두, 침샘 등
- 연부조직 종창, 농양, 덩이, 궤양성 병변
- 진단: 고름의 조직학적 미생물학적 검사
흉부 질환(15%)
- 구강 혹은 인두로부터 원인균의 흡인에 의해 유발
- 폐, 흉막, 흉벽 등을 침범
복부 질환(20%)
- 농양, 덩이 등 → 종양과의 감별필요
- 천공성 맹장염과 동반되는 경우(복부 방선균증의 65% 차지)
골반 질환
- 자궁 내 장치 감염과 연관
- 호발부위: 난소, 자궁관, 자궁, 외음, 자궁경부
중추신경계 질환
- 드묾
- 뇌농양, 수막염, 척수 및 두개경막외 농양 등
파종 질환
- 드묾
진단
- 임상적으로 방선균증을 의심하는 것이 중요
- 조기에 진단해서 불필요한 수술을 막는 것이 중요
- 확진: 조직학적, 미생물학적인 진단
- 조직학적: 유황과립(sulfur granule)의 확인
- 미생물학적: 바퀴살모양(ray-like projection)으로 배열되어 있는 분지형의 그람양성균
- CT, MRI : 치료 경과를 monitoring하는 데 유용하게 쓰임
치료
- 고용량의 항생제로 장기간 치료해야 함
- penicillin IV 1,800만-2,400만 unit/일 2-6주 후 → 경구 penicillin 혹은 amoxicillin을 6-12개월 사용
- 병변이 없어지거나 최소화될 때까지 시행
1차 치료제
- Penicillin: 3-4 million units IV q4h
- Amoxicillin: 500 mg PO q6h
2차 치료제(penicillin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 Erythromycin: 500-1,000 mg IV q6h 혹은 500 mg PO q6h
- Tetracycline: 500 mg PO q6h
- Doxycycline: 100 mg IV 혹은 PO q12h
- Minocycline: 100 mg IV 혹은 PO q12h
- Clindamcyin: 900 mg IV q8h 혹은 300-450 mg PO q6h
- 기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약물(입증되지는 않음): Ceftriaxone, ceftizoxime, Imipenem-cilastatin, Piperacillin-tazobactam
- 피해야할 약제: Metronidazole, aminoglycoside, oxacillin, Dicloxacillin, cephalexin
참고자료
- Kwon OH, Kim JW. Hepatic Actinomycosis Mimicking a Malignant Tumor: Three Case Repo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5;72(5):352–7.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599-603
- Park JE, Kang JB, Park HY, et al. A Case of Actinomycosis of an Orbital Subperiosteal Abscess in a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6;17(3):219–23.
- 해리슨 20/e(2018). 170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