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방접종
접종대상/시기
모든 영유아 및 소아
접종용량/방법
이상반응
금기사항
접촉자 관리
밀접접촉자: 가족 및 동거인 환자의 구강분비물에 노출 된 사람 등
검사
노출 후 예방요법
예방접종
업무제한
기타 접촉자
예방접종
접종대상/시기
모든 영유아 및 소아
- 기초접종(DTaP 혹은 DTaP-IPV, DTaP-IPV/Hib): 생후 2, 4, 6개월
- 추가접종
- 생후 15-18개월(DTaP)
- 4-6세(DTaP 혹은 DTaP-IPV)
- 11-12세(Tdap 혹은 Td)
- 이후 Td 백신으로 매 10년마다 추가접종. 11세 이후 접종 중 한 번은 Tdap으로 접종
- 해야 하며, 가능한 한 11-12세에 Tdap으로 접종
DTaP/Tdap/Td 표준예방접종 일정
구 분 | 표준접종시기 | 다음 접종 최소 간격 | 백신 | |
기초접종 | 1차 | 생후 2개월 | 4주 | DTaP (DTaP-IPV, DTaP-IPV/Hib) |
2차 | 생후 4개월 | 4주 | DTaP (DTaP-IPV, DTaP-IPV/Hib) | |
추가접종 | 3차 | 생후 6개월 | 6개월 | DTaP (DTaP-IPV, DTaP-IPV/Hib) |
4차 | 생후 15-18개월 | 6개월 | DTaP | |
5차 | 만 4-6세 | - | DTaP (DTaP-IPV) | |
6차 | 만 11-12세 | - | Tdap 혹은 Td① | |
7차 이후 | 매 10년마다 접종 | 5년 | Tdap 혹은 Td① |
① 11세 이후 접종 중 한번은 Tdap으로 접종하며, 가능한 한 11-12세에 Tdap으로 접종
접종용량/방법
- 0.5 mL 근육주사
- 영유아: 대퇴부 전외측; 소아·성인: 삼각근 부위
이상반응
- 국소반응: 발적, 부종, 동통, 접종부위 농양, 심한 국소반응(Arthus reaction)
- 전신반응: 전신 두드러기, 아나필락시스, 신경학적 이상, 식욕상실, 38℃ 이상의 고열, 1시간 이상 울기, 보챔, 졸림, 구토
금기사항
- 이전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 접종 7일 내에 원인을 알 수 없는 급성 뇌증을 보인 경우
접촉자 관리
밀접접촉자: 가족 및 동거인 환자의 구강분비물에 노출 된 사람 등
검사
- 백신 접종 유무나 면역력에 상관없이 비강과 인두부위 검체에 대한 균 배양검사 실시
- 검사를 받고 7일 간 발병 여부 감시
노출 후 예방요법
- 균 배양검사 이후, 백신 접종 유무에 상관없이 Penicillin 1회 주사 또는 Erythromycin(소아는 40 mg/kg/일, 성인은 1 g/일, 4회/일)을 7-10일간 경구 투여
예방접종
- 불완전한 예방접종력을 가진 사람의 경우 연령별로 정해진 접종 실시
- 표준예방접종 일정표에 따라 미접종자 접종 실시
- 예방접종 대상 별 고려사항
- 1세 미만 영유아를 돌보는 가족 및 모든 의료종사자: Tdap접종 권장
- 가임기 여성 및 임산부: Tdap 접종력이 없는 경우 임신 전에 Tdap 접종, 임신 중인 경우 27-36주 사이 접종, 임신 중 접종하지 못한 경우 분만 후 신속하게 접종
업무제한
- 균이 음성으로 증명될 때까지 식품(특히 우유)관련 종사, 소아 접촉 업무, 학교 등 업무 제한
기타 접촉자
(예방접종) 예방접종력에 따라 필요한 접종 실시∙증상 발생 모니터링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2017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관리지침 2020